SK 조림사업 35년 ‘결실’
SK의 35년 나무사랑이 결실을 맺고 있다.
SK가 장학사업 재원 마련을 위해 조림사업을 시작한 것은 1973년부터. 벌거숭이산에 나무를 심어 30년 후 고급목재로 자라면 이를 팔아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금으로 사용하겠다는 고 최종현 회장의 구상에 따른 것이었다.
당시만 해도 조림사업은 투자기간이 길고 사업전망도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반대가 많았다. 하지만 최 전 회장은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이 나무를 심는다’고 강조하면서 조림을 시작했다. 또 부동산 가치 등을 고려해 조림지역을 수도권 근처로 하자는 주위 의견에 대해서도 ‘땅장사를 하려는 게 아니다’면서 오지를 선택했다.
SK는 1972년 서해개발주식회사(현 SK건설 임업부문)를 설립하고 이듬해부터 나무를 심기 시작해 현재는 충주 인등산과 천안 관덕산, 영동, 오산 등 4개 사업소 4100헥타르 규모 임야에 조림수 40종, 조경수 80여종 등 378만본을 키우고 있다.
나무 종류도 당시 국가에서 권장했던 상록수 대신 산소배출량이 많고 미관이 아름다우며 경제성이 뛰어난 자작나무 등 활엽수를 택해 심었다.
그 결과 천안사업소에서 생산되는 호도에 ‘우리숲’이란 브랜드를 붙여 시판할 정도로 SK의 조림사업은 성과를 내고 있다. ‘나무를 통한 인재양성’이라는 최 전 회장의 꿈이 현실이 되고 있는 셈이다.
물론 어려움도 없지 않았다. 1989년 기업의 부동산 과다 보유 규제시에는 ‘기업이 부동산을 왜 이렇게 많이 갖고 있느냐’며 매각을 요구받기도 했다. 이에 최 전 회장은 1000헥타르에 달하는 조림지를 충남대에 기증하고 부동산 투자용이 아니라는 점을 충분히 설명해 무사히 넘어갈 수 있었다.
최 전 회장은 조림사업 외에도 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청소년 면학을 장려하기 위해 1973년부터 시작한 장학퀴즈, 해외 유학과 국내외 학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세운 한국고등교육재단, 1975년 기업 연수원으로는 최초로 설립한 SK아카데미 등은 국내기업으로서는 드물게 30년 이상 지속하고 있는 인재양성 프로그램들이다.
이같은 SK의 인재중시 기업문화는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SK관계자는 “나무와 인재 육성을 같은 연장선상에서 보고 2003년부터 연수원 집합교육 때 충주 인등산 ‘인재의 숲’ 산행을 하고 있으며 최태원 회장도 임직원들과 동참하곤 한다”고 전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SK의 35년 나무사랑이 결실을 맺고 있다.
SK가 장학사업 재원 마련을 위해 조림사업을 시작한 것은 1973년부터. 벌거숭이산에 나무를 심어 30년 후 고급목재로 자라면 이를 팔아 인재양성을 위한 장학금으로 사용하겠다는 고 최종현 회장의 구상에 따른 것이었다.
당시만 해도 조림사업은 투자기간이 길고 사업전망도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반대가 많았다. 하지만 최 전 회장은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이 나무를 심는다’고 강조하면서 조림을 시작했다. 또 부동산 가치 등을 고려해 조림지역을 수도권 근처로 하자는 주위 의견에 대해서도 ‘땅장사를 하려는 게 아니다’면서 오지를 선택했다.
SK는 1972년 서해개발주식회사(현 SK건설 임업부문)를 설립하고 이듬해부터 나무를 심기 시작해 현재는 충주 인등산과 천안 관덕산, 영동, 오산 등 4개 사업소 4100헥타르 규모 임야에 조림수 40종, 조경수 80여종 등 378만본을 키우고 있다.
나무 종류도 당시 국가에서 권장했던 상록수 대신 산소배출량이 많고 미관이 아름다우며 경제성이 뛰어난 자작나무 등 활엽수를 택해 심었다.
그 결과 천안사업소에서 생산되는 호도에 ‘우리숲’이란 브랜드를 붙여 시판할 정도로 SK의 조림사업은 성과를 내고 있다. ‘나무를 통한 인재양성’이라는 최 전 회장의 꿈이 현실이 되고 있는 셈이다.
물론 어려움도 없지 않았다. 1989년 기업의 부동산 과다 보유 규제시에는 ‘기업이 부동산을 왜 이렇게 많이 갖고 있느냐’며 매각을 요구받기도 했다. 이에 최 전 회장은 1000헥타르에 달하는 조림지를 충남대에 기증하고 부동산 투자용이 아니라는 점을 충분히 설명해 무사히 넘어갈 수 있었다.
최 전 회장은 조림사업 외에도 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청소년 면학을 장려하기 위해 1973년부터 시작한 장학퀴즈, 해외 유학과 국내외 학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세운 한국고등교육재단, 1975년 기업 연수원으로는 최초로 설립한 SK아카데미 등은 국내기업으로서는 드물게 30년 이상 지속하고 있는 인재양성 프로그램들이다.
이같은 SK의 인재중시 기업문화는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SK관계자는 “나무와 인재 육성을 같은 연장선상에서 보고 2003년부터 연수원 집합교육 때 충주 인등산 ‘인재의 숲’ 산행을 하고 있으며 최태원 회장도 임직원들과 동참하곤 한다”고 전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