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결제에 장기어음 발행으로 죽을 맛”
발문
“냉장고 컴퓨터 에어컨 책상 등 공사현장 사무실 집기와 골프부킹에 먼 친척의 애경지사까지 모두 챙겨야”
경기도내에서 레미콘 회사를 경영하는 A사장. 그는 얼마전 천안에 소유하고 있던 아파트를 팔았다. 급매물로 내놓다보니 일반 시세보다 1000만원 가량 손해를 봤다.
A사장은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분노가 가슴에서 치밀어 오른다. 대형건설업체의 부당한 요구와 횡포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중소기업인의 처지가 한탄스러울 뿐이다.
사정은 이렇다.
A사장은 천안에 아파트를 짓고 있던 대형건설현장에 레미콘을 납품했다. 이 업체는 레미콘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아파트 구입을 요구했다. A사장은 어쩔 수 없이 업체의 미분양된 아파트를 구입했다.
“분양이 잘 되면 아파트를 주겠습니까. 미분양된 아파트를 자재공급업체에 떠넘기는 거지요. 이런 아파트는 오래 가지고 있을수록 손해를 봅니다.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급매물로 파는 게 그나마 손해를 줄이는 방법이죠.”
A사장은 “대형건설현장에 납품하는 모든 중소기업인들이 이러한 부당한 요구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A사장 회사는 수년째 시멘트 자갈 모래 등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영업이익이 거의 없는 상태다.
하지만 건설업체들의 레미콘 납품단가는 원자재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않고 있어 건설경기가 좋았던 시절에 번 자금으로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경영환경이 극도로 악화된 상황에서 대형건설업체들의 횡포는 중소기업을 부도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A사장이 전하는 대형건설현장에서 벌어지는 횡포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건설업체들은 6개월 이상의 장기어음을 발행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장기어음발행은 납품업체의 자금흐름을 왜곡하며 부도상황으로 내몰고 있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건설현장에 납품하는 업체들은 냉장고 컴퓨터 에어컨 책상 등 공사현장 사무실 집기와 골프부킹에 먼 친척의 애경지사까지 모두 챙겨야 한다.
현재 건설업체의 부당한 요구는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납품업체들은 보복이 두려워 누구도 말을 못한다.
“수년전 주간지에 건설업계의 횡포를 고발한 납품업체가 있었지요. 기사에는 모두 가명으로 했어요. 그러나 대형건설업체들은 이 업체를 찾아냈죠. 이 회사가 어떻게 됐겠습니까. 그 회사는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횡포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A사장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활용을 주문했다. 지자체에서 건축허가 승인을 내줄 때 ‘부당한 요구를 할 경우 건축승인을 취소한다’는 ‘부당요구 근절 협약’을 문서로 받자는 것이다.
즉 ‘건축승인 취소’를 감수하면서까지 부당한 요구를 할 업체는 없어 건설현장의 횡포는 상당히 사라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대형건설현장과 납품업체와 사이에는 ‘상도’는 없습니다. 오로지 횡포만 존재합니다. 이를 막지 않는다면 납품업체의 미래는 없습니다.”
A사장은 말을 마친 후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리는 ‘레미콘 가격 현실화 촉구대회’로 발길을 돌렸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발문
“냉장고 컴퓨터 에어컨 책상 등 공사현장 사무실 집기와 골프부킹에 먼 친척의 애경지사까지 모두 챙겨야”
경기도내에서 레미콘 회사를 경영하는 A사장. 그는 얼마전 천안에 소유하고 있던 아파트를 팔았다. 급매물로 내놓다보니 일반 시세보다 1000만원 가량 손해를 봤다.
A사장은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분노가 가슴에서 치밀어 오른다. 대형건설업체의 부당한 요구와 횡포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중소기업인의 처지가 한탄스러울 뿐이다.
사정은 이렇다.
A사장은 천안에 아파트를 짓고 있던 대형건설현장에 레미콘을 납품했다. 이 업체는 레미콘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아파트 구입을 요구했다. A사장은 어쩔 수 없이 업체의 미분양된 아파트를 구입했다.
“분양이 잘 되면 아파트를 주겠습니까. 미분양된 아파트를 자재공급업체에 떠넘기는 거지요. 이런 아파트는 오래 가지고 있을수록 손해를 봅니다.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급매물로 파는 게 그나마 손해를 줄이는 방법이죠.”
A사장은 “대형건설현장에 납품하는 모든 중소기업인들이 이러한 부당한 요구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A사장 회사는 수년째 시멘트 자갈 모래 등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영업이익이 거의 없는 상태다.
하지만 건설업체들의 레미콘 납품단가는 원자재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않고 있어 건설경기가 좋았던 시절에 번 자금으로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경영환경이 극도로 악화된 상황에서 대형건설업체들의 횡포는 중소기업을 부도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A사장이 전하는 대형건설현장에서 벌어지는 횡포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건설업체들은 6개월 이상의 장기어음을 발행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장기어음발행은 납품업체의 자금흐름을 왜곡하며 부도상황으로 내몰고 있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건설현장에 납품하는 업체들은 냉장고 컴퓨터 에어컨 책상 등 공사현장 사무실 집기와 골프부킹에 먼 친척의 애경지사까지 모두 챙겨야 한다.
현재 건설업체의 부당한 요구는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납품업체들은 보복이 두려워 누구도 말을 못한다.
“수년전 주간지에 건설업계의 횡포를 고발한 납품업체가 있었지요. 기사에는 모두 가명으로 했어요. 그러나 대형건설업체들은 이 업체를 찾아냈죠. 이 회사가 어떻게 됐겠습니까. 그 회사는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횡포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A사장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활용을 주문했다. 지자체에서 건축허가 승인을 내줄 때 ‘부당한 요구를 할 경우 건축승인을 취소한다’는 ‘부당요구 근절 협약’을 문서로 받자는 것이다.
즉 ‘건축승인 취소’를 감수하면서까지 부당한 요구를 할 업체는 없어 건설현장의 횡포는 상당히 사라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대형건설현장과 납품업체와 사이에는 ‘상도’는 없습니다. 오로지 횡포만 존재합니다. 이를 막지 않는다면 납품업체의 미래는 없습니다.”
A사장은 말을 마친 후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리는 ‘레미콘 가격 현실화 촉구대회’로 발길을 돌렸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