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 ▲무상의 철학 = 타니 타다시(谷貞志) 지음. 권서용 옮김. 일본인 저자가 인도의 불교사상가 다르마끼르띠(600-660)의 인식론을 조명한 학술서.
다르마끼르띠의 인식론은 ''존재''에 입각한 인식론이 아니라 ''연기(緣起)''나 ''과정''에 입각한 것이다. 저자는 불교적 존재론인 ''무상(無常)''의 개념을 다르마끼르띠의 ''찰나멸(刹那滅)''로 설명한다.흐르는 물처럼 변하는 시간 속에서 존재도 끊임없이 변해간다는 점에서 다르마끼르띠의 찰나멸은 아견(我見)과 아상(我相)에서 벗어나 ''순간적 존재성''을 인식하는 논리적 개념이다.저자는 "니체가 말한 것처럼 신은 죽은 것이 아니라 찰나멸할 뿐"이라며 "니체의 선언이 서양의 실체중심주의에 대한 사망선고라면, 다르마끼르띠가 ''모든 것은 찰나멸''이라고 선언한 것은 모든 맹신적 신앙의 종교나 언어ㆍ문자ㆍ분별적 사고에 매인 철학에 대한 사망선고"라고 말한다.
산지니. 384쪽. 1만8천원.
▲꽃우물에 따뜻한 교회가 있네 = 박인환 지음. 경기도 안산시 화정마을에 있는화정교회에서 19년째 사역하는 목사가 지은 책. 안산시와 시흥시의 중간에 위치한 화정교회는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여전히 농촌교회로 남아 있다. 성장제일주의가 판치는 시대에 40여 호에 불과한 농촌마을에서 ''제자리''를 지켜온 화정교회 사람들의 이야기가 잔잔하게 펼쳐진다.KMC. 208쪽. 9천원.
▲성공의 적, 교만 = 안창천 지음. 서울 상수동 우리가하나되는교회의 담임목사이자 평신도를 사역자로 만드는 교육시스템 등을 개발, 전국으로 강연을 다니는 저자는 ''겸손''이야말로 가정과 사회생활에서 행복을 맛보게 하고 궁극적으로 성공적인삶을 살게 만든다고 강조한다.저자는 ''교만을 자각하라'', ''교만의 죄를 날마다 고백하라'', ''날마다 죽는 것을연습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등 교만을 물리치는 12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하나. 222쪽. 9천500원.
ckchung@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다르마끼르띠의 인식론은 ''존재''에 입각한 인식론이 아니라 ''연기(緣起)''나 ''과정''에 입각한 것이다. 저자는 불교적 존재론인 ''무상(無常)''의 개념을 다르마끼르띠의 ''찰나멸(刹那滅)''로 설명한다.흐르는 물처럼 변하는 시간 속에서 존재도 끊임없이 변해간다는 점에서 다르마끼르띠의 찰나멸은 아견(我見)과 아상(我相)에서 벗어나 ''순간적 존재성''을 인식하는 논리적 개념이다.저자는 "니체가 말한 것처럼 신은 죽은 것이 아니라 찰나멸할 뿐"이라며 "니체의 선언이 서양의 실체중심주의에 대한 사망선고라면, 다르마끼르띠가 ''모든 것은 찰나멸''이라고 선언한 것은 모든 맹신적 신앙의 종교나 언어ㆍ문자ㆍ분별적 사고에 매인 철학에 대한 사망선고"라고 말한다.
산지니. 384쪽. 1만8천원.
▲꽃우물에 따뜻한 교회가 있네 = 박인환 지음. 경기도 안산시 화정마을에 있는화정교회에서 19년째 사역하는 목사가 지은 책. 안산시와 시흥시의 중간에 위치한 화정교회는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여전히 농촌교회로 남아 있다. 성장제일주의가 판치는 시대에 40여 호에 불과한 농촌마을에서 ''제자리''를 지켜온 화정교회 사람들의 이야기가 잔잔하게 펼쳐진다.KMC. 208쪽. 9천원.
▲성공의 적, 교만 = 안창천 지음. 서울 상수동 우리가하나되는교회의 담임목사이자 평신도를 사역자로 만드는 교육시스템 등을 개발, 전국으로 강연을 다니는 저자는 ''겸손''이야말로 가정과 사회생활에서 행복을 맛보게 하고 궁극적으로 성공적인삶을 살게 만든다고 강조한다.저자는 ''교만을 자각하라'', ''교만의 죄를 날마다 고백하라'', ''날마다 죽는 것을연습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등 교만을 물리치는 12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하나. 222쪽. 9천500원.
ckchung@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