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대표 신헌철)는 저가의 중질유를 분해하여 휘발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제3기 고도화설비인 New FCC와 제2기 중질유 탈황공정(RHDS)을 최근 완공해 시험생산을 시작했다.
SK에너지 관계자는 3일 “하루 생산량 6만 배럴 규모의 New FCC공장과 8만 배럴 규모의 제2기 중질유 탈황공정이 3월 말 준공됐다”며 “3개월 정도 시험가동을 거친 후 6월 말부터는 상업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SK에너지는 지난해 1월 울산공장에서 이 설비의 건설을 시작해 15개월 만에 완공했다. 2조원 가까운 투자가 이루어진 초대형 플랜트임을 고려할 때 세계적으로도 최단기에 건설을 완료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SK에너지는 기존에 FCC 1기와 HOU(수소 첨가 중질유 분해공정) 1기 등 2기의 고도화시설을 울산공장에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New FCC 완공에 따라 고도화설비 생산량이 하루 16만2,000배럴로 확대됐다. 이는 국내 정유사 최대 생산능력으로, SK에너지의 고도화비율은 기존 9%대에서 14.5%까지 늘어나게 됐다.
촉매를 이용하여 벙커C 등 저부가가치의 중질유를 분해, 휘발유 및 경질 올레핀 등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인 FCC는 흔히 ‘지상유전(地上油田)’이라고 불릴 정도로 정유사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는 설비다. 아울러 RHDS는 FCC에 원료가 주입되는 전단계 공정으로, 중질유에 함유돼 있는 황 성분을 빼내는 친환경 설비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SK에너지 관계자는 3일 “하루 생산량 6만 배럴 규모의 New FCC공장과 8만 배럴 규모의 제2기 중질유 탈황공정이 3월 말 준공됐다”며 “3개월 정도 시험가동을 거친 후 6월 말부터는 상업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SK에너지는 지난해 1월 울산공장에서 이 설비의 건설을 시작해 15개월 만에 완공했다. 2조원 가까운 투자가 이루어진 초대형 플랜트임을 고려할 때 세계적으로도 최단기에 건설을 완료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SK에너지는 기존에 FCC 1기와 HOU(수소 첨가 중질유 분해공정) 1기 등 2기의 고도화시설을 울산공장에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New FCC 완공에 따라 고도화설비 생산량이 하루 16만2,000배럴로 확대됐다. 이는 국내 정유사 최대 생산능력으로, SK에너지의 고도화비율은 기존 9%대에서 14.5%까지 늘어나게 됐다.
촉매를 이용하여 벙커C 등 저부가가치의 중질유를 분해, 휘발유 및 경질 올레핀 등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인 FCC는 흔히 ‘지상유전(地上油田)’이라고 불릴 정도로 정유사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는 설비다. 아울러 RHDS는 FCC에 원료가 주입되는 전단계 공정으로, 중질유에 함유돼 있는 황 성분을 빼내는 친환경 설비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