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3일 공청회 … “연구개발 의지 꺾지 말아야”
그동안 제약업계 불만 대상이었던 개량신약 보험약가 결정방식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개량신약은 오리지널약과 적응증은 같고 효능이나 복용법 등이 개선된 의약품을 말한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오는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 대강당에서 개량신약의 보험약가 결정방식 개선을 위해 제약업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청회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에서 개량신약의 정의, 약효 개선, 개량신약에 대한 가격결정 절차의 간소화, 개량신약의 비교대상인 오리지널 의약품 선정 방식 등이 다루어진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업계 요구를 정확히 파악해 개량신약 가격결정방식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방침”이라며 “개량신약 가격에 대해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개량신약 개발의욕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량신약은 혁신적 신약에 비해 개발 부담이 적고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권을 침해하지 않아 특허 기간 중에도 출시가 가능하다.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본 규모와 기술 수준이 영세한 국내제약사로서는 개량신약을 개발함으로서 복제의약품 생산에서 신약개발로 전환하는 기술력과 자본력을 모으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2006년말 약제비 적정화 방안 시행이후 의약품의 보험등재가 어려워지고 급여도 줄여들고 있어 제약업계의 불만이 많았다. 특히 개량신약의 경우 개념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아 제네릭으로 취급받거나 보험등재가 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종근당의 혈전치료제 ‘프리그렐’의 경우 2006년 개량신약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시판허가를 받았음에도 올 초까지 보험에 등재되지 못했다. 이 의약품의 오리지널은 다국적 제약사 사노피-아벤티스의 ‘플라빅스’다.
프리그렐은 심평원에서 보험급여판정을 받은 뒤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약가협상에서 합의되지 않아 보험에 등재되지 못했다.
지난 3월 종근당측은 개량신약으로 등재되는 전략을 포기하고 제네릭 수준으로 약값을 제시해 프리그렐에 대한 약가 협상이 다시 열린 상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약값 협상이 복잡하고 예측가능성이 희박하며 개념도 제대로 세워지지 않아 업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그동안 제약업계 불만 대상이었던 개량신약 보험약가 결정방식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개량신약은 오리지널약과 적응증은 같고 효능이나 복용법 등이 개선된 의약품을 말한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오는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 대강당에서 개량신약의 보험약가 결정방식 개선을 위해 제약업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청회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에서 개량신약의 정의, 약효 개선, 개량신약에 대한 가격결정 절차의 간소화, 개량신약의 비교대상인 오리지널 의약품 선정 방식 등이 다루어진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업계 요구를 정확히 파악해 개량신약 가격결정방식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방침”이라며 “개량신약 가격에 대해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개량신약 개발의욕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량신약은 혁신적 신약에 비해 개발 부담이 적고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권을 침해하지 않아 특허 기간 중에도 출시가 가능하다.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본 규모와 기술 수준이 영세한 국내제약사로서는 개량신약을 개발함으로서 복제의약품 생산에서 신약개발로 전환하는 기술력과 자본력을 모으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2006년말 약제비 적정화 방안 시행이후 의약품의 보험등재가 어려워지고 급여도 줄여들고 있어 제약업계의 불만이 많았다. 특히 개량신약의 경우 개념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아 제네릭으로 취급받거나 보험등재가 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종근당의 혈전치료제 ‘프리그렐’의 경우 2006년 개량신약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시판허가를 받았음에도 올 초까지 보험에 등재되지 못했다. 이 의약품의 오리지널은 다국적 제약사 사노피-아벤티스의 ‘플라빅스’다.
프리그렐은 심평원에서 보험급여판정을 받은 뒤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약가협상에서 합의되지 않아 보험에 등재되지 못했다.
지난 3월 종근당측은 개량신약으로 등재되는 전략을 포기하고 제네릭 수준으로 약값을 제시해 프리그렐에 대한 약가 협상이 다시 열린 상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약값 협상이 복잡하고 예측가능성이 희박하며 개념도 제대로 세워지지 않아 업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