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금리인하 가능성 더 낮아져
(브뤼셀=연합뉴스) 이상인 특파원 = 유로화를 사용하는 유로존 15개 국의 물가상승률이 기록적인 고유가와 식료품가격 앙등으로 인해 지난 3월 3.6%에 달해 유로화가 도입된 1999년 이래 최고치를 또 다시 갈아치웠다.
또 유로화도 16일(현지시간) 런던 등 유럽 외환시장에서 한때 유로당 1.5968 달러로 1999년 1월 출범이래 달러화 대비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우는 등 초강세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유럽연합(EU) 통계국인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3월 유로존 15개 국의 물가 상승률이 3.6%로 전월보다 0.3%포인트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유로스타트가 이달 초 잠정 예상했던 3.5%를 웃돈 것으로 유로화가 도입된 1999년 1월 이래 가장 높았던 전월의 기록을 또다시 넘어선 것이다.
또 유럽중앙은행(ECB)의 물가 억제선인 2%를 크게 넘어섬으로써 ECB의 금리인하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유로존 물가가 급등한 것은 유가가 전날 배럴당 114달러를 넘는 등 사상 최고가행진을 계속하고 있는데다 국제 곡물가 급등으로 인해 빵과 시리얼을 비롯해 우유, 치즈, 계란 등 식료품 가격이 앙등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유로존 물가가 이처럼 급등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혼란에 따른 경기침체 확산을 막기 위한 부양책으로 금리인하를 단행하라는 압박에도 불구, ECB가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졌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인플레 억제를 최우선 정책으로 삼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ECB는 지난 해 6월이래 기준 금리 4%를 유지하고 있다. 유로화는 1999년 1월 도입됐으며 지난 2002년 1월부터 지폐와 동전이 통용되기 시작했다.
sangi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브뤼셀=연합뉴스) 이상인 특파원 = 유로화를 사용하는 유로존 15개 국의 물가상승률이 기록적인 고유가와 식료품가격 앙등으로 인해 지난 3월 3.6%에 달해 유로화가 도입된 1999년 이래 최고치를 또 다시 갈아치웠다.
또 유로화도 16일(현지시간) 런던 등 유럽 외환시장에서 한때 유로당 1.5968 달러로 1999년 1월 출범이래 달러화 대비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우는 등 초강세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유럽연합(EU) 통계국인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3월 유로존 15개 국의 물가 상승률이 3.6%로 전월보다 0.3%포인트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유로스타트가 이달 초 잠정 예상했던 3.5%를 웃돈 것으로 유로화가 도입된 1999년 1월 이래 가장 높았던 전월의 기록을 또다시 넘어선 것이다.
또 유럽중앙은행(ECB)의 물가 억제선인 2%를 크게 넘어섬으로써 ECB의 금리인하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유로존 물가가 급등한 것은 유가가 전날 배럴당 114달러를 넘는 등 사상 최고가행진을 계속하고 있는데다 국제 곡물가 급등으로 인해 빵과 시리얼을 비롯해 우유, 치즈, 계란 등 식료품 가격이 앙등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유로존 물가가 이처럼 급등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혼란에 따른 경기침체 확산을 막기 위한 부양책으로 금리인하를 단행하라는 압박에도 불구, ECB가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졌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인플레 억제를 최우선 정책으로 삼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ECB는 지난 해 6월이래 기준 금리 4%를 유지하고 있다. 유로화는 1999년 1월 도입됐으며 지난 2002년 1월부터 지폐와 동전이 통용되기 시작했다.
sangi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