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연구소 주택금융수요실태조사
이자율 2%p↑ → 평균소득 2.5%↓
대출받아 집을 구입한 가구의 경우 이자 상승 폭보다 가계 평균소득 하락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자가 2%포인트 상승하면 가계 평균소득이 2.5%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저소득 가구일수록 이자율 상승이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25일 국민은행연구소는 지난해 실시한 주택금융수요실태조사에서 최근 3년 내 국민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한 485가구를 대상으로 이자율 변화에 따른 가구소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결과 주택대출 금리가 2%포인트 오를 경우 조사 대상 가구의 17.5%는 가계소득이 5%이상 줄었고, 4.1%는 10%나 급감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가계소득감소율은 2.5%다. 이자율 상승에 따라 가계소득이 5%와 10% 이상 줄어드는 가구의 총 부채 규모를 보면 각각 1억5009만원과 1억8400만원으로 전체 평균 가구의 8224만원보다 두 배 가량 많다. 또 부동산 자산 역시 4억501만원과 4억6550만원으로 전체 평균 3억258만원보다 많았다. 반면 연소득은 3678만원(5% 감소가구)과 2701만원(10% 감소가구)로 평균 4617만원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자산도 1182만원과 1143만원으로 평균 4751만원에 비해 한참 뒤처졌다.
이는 연소득과 금융자산이 적은데도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무리하게’ 주택을 구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2006년까지 저금리 기조 하에서 높은 주택가격 상승률을 기대하고 무리하게 대출을 받는 저소득층 가구의 경우 최근 금리상승으로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민은행연구소가 지난해 4분기 주택시장 전반을 분석한 결과 주택매매가격은 전 분기에 비해 0.7%, 연간 3.1% 상승해 안정세를 보였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자율 2%p↑ → 평균소득 2.5%↓
대출받아 집을 구입한 가구의 경우 이자 상승 폭보다 가계 평균소득 하락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자가 2%포인트 상승하면 가계 평균소득이 2.5%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저소득 가구일수록 이자율 상승이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25일 국민은행연구소는 지난해 실시한 주택금융수요실태조사에서 최근 3년 내 국민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한 485가구를 대상으로 이자율 변화에 따른 가구소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결과 주택대출 금리가 2%포인트 오를 경우 조사 대상 가구의 17.5%는 가계소득이 5%이상 줄었고, 4.1%는 10%나 급감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가계소득감소율은 2.5%다. 이자율 상승에 따라 가계소득이 5%와 10% 이상 줄어드는 가구의 총 부채 규모를 보면 각각 1억5009만원과 1억8400만원으로 전체 평균 가구의 8224만원보다 두 배 가량 많다. 또 부동산 자산 역시 4억501만원과 4억6550만원으로 전체 평균 3억258만원보다 많았다. 반면 연소득은 3678만원(5% 감소가구)과 2701만원(10% 감소가구)로 평균 4617만원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자산도 1182만원과 1143만원으로 평균 4751만원에 비해 한참 뒤처졌다.
이는 연소득과 금융자산이 적은데도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무리하게’ 주택을 구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2006년까지 저금리 기조 하에서 높은 주택가격 상승률을 기대하고 무리하게 대출을 받는 저소득층 가구의 경우 최근 금리상승으로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민은행연구소가 지난해 4분기 주택시장 전반을 분석한 결과 주택매매가격은 전 분기에 비해 0.7%, 연간 3.1% 상승해 안정세를 보였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