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관 34명 가운데 종합부동산세 대상이 25명(73.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버블세븐(강남 서초 송파 목동 분당 용인 평촌)에 본인 또는 가족명의로 주택을 보유한 비서관도 21명(61.7%)으로 집계됐다. 이들 비서관의 평균재산은 17억6567만원이다.
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3월 이후 신규임용 고위공직자 재산등록 현황을 보면 청와대 비서관급 34명은 주택과 주식을 중심으로 평균 17억원이 넘는 재산을 신고했다. 본인과 배우자가 보유한 재산은 다소 적은 16억1147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청와대 수석급은 평균 35억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 대통령의 집사격인 김백준 총무비서관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에 아파트 두 채와 서초구 서초동에 오피스텔을 보유하고 있다. 교수 출신인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은 서울시내에 상가 3개와 사무실 1개, 아파트 1채를 각각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다. 대부분 조부 또는 부친으로부터 받은 증여나 상속재산으로 매입했다고 밝혔다. 기자출신의 김은혜 부대변인은 배우자 명의로 강남구 대치동에 87억원 상당의 빌딩 지분을 보유 중이다. 전체 재산은 97억3155만원을 신고해 비서관 중 1위에 올랐다. 가장 재산이 적은 비서관은 노연홍 보건복지비서관이었다. 신고액은 1억8426만원에 불과하다. 인사비서관인 김명식 비서관도 1억8973만원을 신고해 뒤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들 비서관들 가운데 김백준 김강욱 박영준 김두우 배용수 등 23명은 신고액 기준으로 종부세 대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부세는 건물의 경우 6억원 이상, 토지는 3억원 이상 보유했을 경우 부과된다.
이들 비서관의 평균 재산은 16억원을 훌쩍 넘었다. 청와대 수석급(35억5652만원)에 비하면 절반 수준이지만 2006년 기준 국내가구의 평균자산(2억8112만원)의 5배를 넘는 액수다. 평균 자산을 보유한 5가구가 재산을 전부 합쳐도 청와대 비서관 한 가구에 못미친다는 얘기다.
직계가족의 재산보유 현황 신고를 거부한 사례도 많았다. 13명의 비서관이 부모나 자녀의 재산신고를 회피했다. 윤리위원회는 8월말까지 이번 신고내역을 심사해 불성실 신고사실이 드러나면 경고, 해임, 징계 요구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홍범택·성홍식·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