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양국에 도움, 조속히 발표시켜야”
미국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각) 한미관계를 21세기 국제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적 동맹관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 한미가 서명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를 조속히 발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코리아소사이어티 주최 연례만찬에 참석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날 만찬에는 코리아소사이어티측에서 주한미대사를 지낸 도날드 그레그 이사장을 비롯해 에반스 리비어 회장,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코리아소사이어티는 지난 1957년 설립된 미국 주류사회의 지한파 유력인사들의 비영리단체다.
이 대통령은 “지난 몇 년간 한미관계가 장기적 동맹관점이 아닌 이념과 정치논리에 왜곡되면서 한미동맹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면서 “21세기의 새로운 국제환경에 직면해 한미가 한반도와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새로운 전략적 마스터플랜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21세기 한미전략동맹’으로 명명하고 3대 지향점으로 △가치동맹 △신뢰동맹 △평화구축동맹을 제시했다. 그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가치의 공강대 위에서 한미가 군사 정치외교 경제 사회 문화 등 포괄적 분야에서 서로 공유하는 이익을 확대하자”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전략동맹의 구체적 실천방안의 하나로 한미가 다자안보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앞장서 동아시아 국가들간 안보신뢰와 군사적 투명성을 높이자고 제안했다. 또 한미양국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양측이 서명한 한미FTA를 조속히 발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미FTA가 발효되면 한국으로서는 수출시장 확대 한국경제의 체질강화를 위해 중요하며, 미국에게도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동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교두보로 삼을 수 있다”고 정리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비핵화 원칙과 대화 필요성에 대한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 대통령은 “북핵문제를 해결하고 북한이 변화 필요성을 깨닫도록 해야 한반도의 궁극적 평화와 통일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차세대 한인동포와의 간담회에서도 “과거와 달리 북한이 위협적 발언을 한다고해서 북한을 도와주고 협상하지는 않겠다”고 못박았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북한에 대해 인도주의적으로 도움을 주는데 대해 다른 생각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 “(북한이) 언제든지 마음을 열고 서로 좋은 관계를 맺으려고 한다면 언제든지 만날 수 있고 도움을 줄 자세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과거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2000여명의 평화봉사단원들의 재방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같은 교류사업이 한미 국민간 우호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대통령은 방미 이틀째인 16일(현지시각)에는 뉴욕증권거래소를 방문한 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면담, 미 금융·재계 주요인사를 상대로 한 한국투자설명회를 한 뒤 워싱턴으로 출발한다.
뉴욕=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미국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각) 한미관계를 21세기 국제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적 동맹관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 한미가 서명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를 조속히 발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코리아소사이어티 주최 연례만찬에 참석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날 만찬에는 코리아소사이어티측에서 주한미대사를 지낸 도날드 그레그 이사장을 비롯해 에반스 리비어 회장,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코리아소사이어티는 지난 1957년 설립된 미국 주류사회의 지한파 유력인사들의 비영리단체다.
이 대통령은 “지난 몇 년간 한미관계가 장기적 동맹관점이 아닌 이념과 정치논리에 왜곡되면서 한미동맹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면서 “21세기의 새로운 국제환경에 직면해 한미가 한반도와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새로운 전략적 마스터플랜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21세기 한미전략동맹’으로 명명하고 3대 지향점으로 △가치동맹 △신뢰동맹 △평화구축동맹을 제시했다. 그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가치의 공강대 위에서 한미가 군사 정치외교 경제 사회 문화 등 포괄적 분야에서 서로 공유하는 이익을 확대하자”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전략동맹의 구체적 실천방안의 하나로 한미가 다자안보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앞장서 동아시아 국가들간 안보신뢰와 군사적 투명성을 높이자고 제안했다. 또 한미양국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양측이 서명한 한미FTA를 조속히 발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미FTA가 발효되면 한국으로서는 수출시장 확대 한국경제의 체질강화를 위해 중요하며, 미국에게도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동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교두보로 삼을 수 있다”고 정리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비핵화 원칙과 대화 필요성에 대한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 대통령은 “북핵문제를 해결하고 북한이 변화 필요성을 깨닫도록 해야 한반도의 궁극적 평화와 통일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차세대 한인동포와의 간담회에서도 “과거와 달리 북한이 위협적 발언을 한다고해서 북한을 도와주고 협상하지는 않겠다”고 못박았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북한에 대해 인도주의적으로 도움을 주는데 대해 다른 생각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 “(북한이) 언제든지 마음을 열고 서로 좋은 관계를 맺으려고 한다면 언제든지 만날 수 있고 도움을 줄 자세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과거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2000여명의 평화봉사단원들의 재방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같은 교류사업이 한미 국민간 우호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대통령은 방미 이틀째인 16일(현지시각)에는 뉴욕증권거래소를 방문한 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면담, 미 금융·재계 주요인사를 상대로 한 한국투자설명회를 한 뒤 워싱턴으로 출발한다.
뉴욕=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