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부도건설사가 늘어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는 8일 지방경기가 크게 위축되면서 4월 부도업체가 전년 동기(6개사) 대비 83.3% 증가한 11개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 들어 부도가 난 건설사는 지난 해(25개사)보다 48% 증가한 37곳으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2개사 △강원 2개사 △충북 2개사 △경북 2개사 △경기 1개사 △전북 1개사 △울산 1개사 등이다.
주요업체로는 시공능력 169위의 신구건설과 182위의 해중건설 등이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최종 부도처리됐다.
업계에서는 물량부족과 수주경쟁 격화, 최저가 확대 등 출혈 수주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으로 인한 주택시장 급랭으로 지방경기가 크게 위축되면서 지방 중소건설사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최저가낙찰제 확대에 신중할 것과, 지방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한 주택거래 관련 규제완화를 촉구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대한건설협회는 8일 지방경기가 크게 위축되면서 4월 부도업체가 전년 동기(6개사) 대비 83.3% 증가한 11개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 들어 부도가 난 건설사는 지난 해(25개사)보다 48% 증가한 37곳으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2개사 △강원 2개사 △충북 2개사 △경북 2개사 △경기 1개사 △전북 1개사 △울산 1개사 등이다.
주요업체로는 시공능력 169위의 신구건설과 182위의 해중건설 등이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최종 부도처리됐다.
업계에서는 물량부족과 수주경쟁 격화, 최저가 확대 등 출혈 수주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으로 인한 주택시장 급랭으로 지방경기가 크게 위축되면서 지방 중소건설사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최저가낙찰제 확대에 신중할 것과, 지방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한 주택거래 관련 규제완화를 촉구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