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실시예정인 예금부분보장제로 인해 비우량은행 예금이 우량은행으로 대거 이동할 것이라는 예측에도 불구하고 최근 3개월간 수신 증가세는 우량-비우량은행간에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일부 비우량은행의 경우 우량은행보다도 훨씬 높은 수신고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예금부분보장제 실시에 대비한 예금이동 조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예금부분보장제 실시가 임박한 올해 6월말부터 9월말까지 3개월간 국내 9개 시중은행의 총수신고(은행계정)는 은행별로 2.3~7.1%의 증가율을 보였다.
공적자금 투입은행 가운데 가장 덩치가 큰 한빛은행의 경우 은행계정 수신고는 1조9천224억원이 늘어 증가율이 4.4%를 기록했으며 조흥은행은 1조9천706억원이 증가해 증가율이 6.5%였다.
외환은행 역시 9천754억원이 증가, 4.1%의 증가율을 보였고 최근에 공적자금 투입을 요청한 서울은행은 3천146억원이 늘어 2.3%였다.
이에 비해 국내 최고우량으로 꼽히는 주택은행은 이 기간에 3조1천87억원이 늘어 7.0%의 수신고 증가율을 기록했고 국민은행도 2조502억원이 증가, 5.1%를 기록했다.
또 신한은행은 4.9%(1조4천136억원), 한미은행은 4.0%(6천747억원), 하나은행은 3.3%(8천985억원)의 증가율을 각각 기록했다.
우량 5개 은행의 수신증가율 단순평가는 4.8%, 비우량 4개 은행의 평균은 4.3%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