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크루트는 26일 엠브레인과 함께 최근 직장인(자영업자 포함) 1158명을 대상으로 ‘전문직 이·전직 의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의 58.2%(674명)가 전문직 진출을 희망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직업별로는 직업이 회사원인 경우 전문직 희망 비율이 64.3%로 가장 높았다. 현재 전문직 종사자도 58.8%나 이·전직을 희망했다. 공무원과 자영업자 희망 비율은 각각 34.7%, 34.4%였다.
또 20·30대 석·박사 이상의 고학력자일수록 이·전직 희망 비율이 높았다.
이·전직 희망 분야는 공무원(17.7%)이 1순위였다. 다음 IT(14.4%), 부동산(13.4%), 재무(8.5%), 금융(8.0%), 레저(6.7%), 의약, 간호사(5.8%) 등의 순이었다. 법률 분야로의 이·전직을 희망하는 경우는 2.5%로 소수에 그쳤다.
성별로는 남성은 ‘IT’분야로, 여성은 ‘공무원’으로 이·전직하기를 1순위로 꼽았다.
연령별로는 20·30대가 ‘공무원’, 40·50대가 ‘부동산’ 분야로 이·전직을 원해 대조적이었다.
전문직 이·전직을 희망하는 이유에 대해서 34.0%는 ‘정년보장이 안 되는 직장에 대한 불안감’을 꼽았으며, ‘직장생활에 비전이 없어서’(24.9), ‘사회적 성공을 위해’(19.9%), ‘정년퇴직, 노후를 위해’(16.9%) 등의 이유를 들었다. ‘정년퇴직, 노후를 위해’ 이·전직을 희망한다는 응답은 40대 이상으로 가면서 급격히 높아졌다. ‘사회적 성공을 위해’ 전문직 이·전직을 희망한다는 응답은 석·박사 이상 학력자 층에서만 1순위로 나와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성공에 대한 욕심이 큰 것으로 보였다.
전문직 이·전직 희망자 674명 중 407명(60.4%)이 ‘구체적인 공부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직업별로는 직업이 회사원인 경우 전문직 희망 비율이 64.3%로 가장 높았다. 현재 전문직 종사자도 58.8%나 이·전직을 희망했다. 공무원과 자영업자 희망 비율은 각각 34.7%, 34.4%였다.
또 20·30대 석·박사 이상의 고학력자일수록 이·전직 희망 비율이 높았다.
이·전직 희망 분야는 공무원(17.7%)이 1순위였다. 다음 IT(14.4%), 부동산(13.4%), 재무(8.5%), 금융(8.0%), 레저(6.7%), 의약, 간호사(5.8%) 등의 순이었다. 법률 분야로의 이·전직을 희망하는 경우는 2.5%로 소수에 그쳤다.
성별로는 남성은 ‘IT’분야로, 여성은 ‘공무원’으로 이·전직하기를 1순위로 꼽았다.
연령별로는 20·30대가 ‘공무원’, 40·50대가 ‘부동산’ 분야로 이·전직을 원해 대조적이었다.
전문직 이·전직을 희망하는 이유에 대해서 34.0%는 ‘정년보장이 안 되는 직장에 대한 불안감’을 꼽았으며, ‘직장생활에 비전이 없어서’(24.9), ‘사회적 성공을 위해’(19.9%), ‘정년퇴직, 노후를 위해’(16.9%) 등의 이유를 들었다. ‘정년퇴직, 노후를 위해’ 이·전직을 희망한다는 응답은 40대 이상으로 가면서 급격히 높아졌다. ‘사회적 성공을 위해’ 전문직 이·전직을 희망한다는 응답은 석·박사 이상 학력자 층에서만 1순위로 나와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성공에 대한 욕심이 큰 것으로 보였다.
전문직 이·전직 희망자 674명 중 407명(60.4%)이 ‘구체적인 공부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