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시청 서소문별관에서 열린 '추모공원 건립 후보지 주민대표 공청회'가 지난 16일에 이어 다시한번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과 공청회 퇴장 등으로 파행을 겪었다.
이날 공청회는 오전 첫 발표자인 중랑구 구종회 대표의 발표에 앞서 방청석에서 "서초·강남구 지역대표들 퇴장"을 요구하면서부터 난항을 거듭했다.
이에따라 추모공원 건립추진협의회 정경균 운영위원장은 "민주질서를 어지럽히는 사람들을 내보내자"며 청원경찰과 시 공무원으로 하여금 서초구 권태규 최성희 최봉현 등 지역대표와 강남구 강태운 구의원 등을 공청회장 밖으로 끌어내고 출입구를 봉쇄했다.
이에 강남·서초구 주민 30여명이 공청회장으로 몰려와 "회의 내용을 듣는게 무슨 잘못이냐"며 공청회장 입장을 요구하며 반발했다.
중랑 은평 마포 도봉 강서구 주민들만 참석한 가운데 열린 오전 발표가 끝나고 오후 3시 서초 4곳, 강남 1곳, 송파 1곳, 강동 2곳 등 8곳 후보지 주민들의 발표를 위한 공청회가 속개됐으나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발표가 진행되기 직전 강남구 강태운 구의원은 정경균 운영위원장을 향해 "오전 청원경찰에게 끌려나간 것에 대한 공개사과를 하라"고 요구했고, 이에 주민들은 "공식사과를 하지 않으면 공청회를 하지 않겠다"며 고함을 질렀다.
또 서초구 최경주 구의원은 "현역 시·구의원의 참석을 배재하고 주민들의 참여를 가로막는 '밀실 공청회'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회의 진행을 막았다.
이에 주민들은 추모공원 선정기준과 절차를 공개할 것과 결정권자인 고건시장이 공청회에 참석할 것 등을 요구했으며 일부는 공청회장을 박차고 나갔다.
한편 공청회장에 나온 한나라당 김덕룡(서초)의원도 발언에 나서 "자유롭게 주민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 공청회가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공청회 의견을 수렴해야 할 부지선정위원들이 참석하지 않은 것도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공청회는 서초·강남구 주민들이 퇴장한 이후 강동·송파구 주민들만 남은 가운데 오후 4시40분께부터 다시 진행됐다.
정경균 운영위원장은 "회의장 규모로 봐서 후보지 13곳 주민들을 모두 참석시켜 진행할 수 없었다"며 "더이상 공청회 계획은 없으며 이제 부지선정위원과 자문위, 고문단 등과 함께 서울추모공원 부지를 확정, 발표하는 것만 남았다"고 말했다.
이날 공청회는 오전 첫 발표자인 중랑구 구종회 대표의 발표에 앞서 방청석에서 "서초·강남구 지역대표들 퇴장"을 요구하면서부터 난항을 거듭했다.
이에따라 추모공원 건립추진협의회 정경균 운영위원장은 "민주질서를 어지럽히는 사람들을 내보내자"며 청원경찰과 시 공무원으로 하여금 서초구 권태규 최성희 최봉현 등 지역대표와 강남구 강태운 구의원 등을 공청회장 밖으로 끌어내고 출입구를 봉쇄했다.
이에 강남·서초구 주민 30여명이 공청회장으로 몰려와 "회의 내용을 듣는게 무슨 잘못이냐"며 공청회장 입장을 요구하며 반발했다.
중랑 은평 마포 도봉 강서구 주민들만 참석한 가운데 열린 오전 발표가 끝나고 오후 3시 서초 4곳, 강남 1곳, 송파 1곳, 강동 2곳 등 8곳 후보지 주민들의 발표를 위한 공청회가 속개됐으나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발표가 진행되기 직전 강남구 강태운 구의원은 정경균 운영위원장을 향해 "오전 청원경찰에게 끌려나간 것에 대한 공개사과를 하라"고 요구했고, 이에 주민들은 "공식사과를 하지 않으면 공청회를 하지 않겠다"며 고함을 질렀다.
또 서초구 최경주 구의원은 "현역 시·구의원의 참석을 배재하고 주민들의 참여를 가로막는 '밀실 공청회'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회의 진행을 막았다.
이에 주민들은 추모공원 선정기준과 절차를 공개할 것과 결정권자인 고건시장이 공청회에 참석할 것 등을 요구했으며 일부는 공청회장을 박차고 나갔다.
한편 공청회장에 나온 한나라당 김덕룡(서초)의원도 발언에 나서 "자유롭게 주민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 공청회가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공청회 의견을 수렴해야 할 부지선정위원들이 참석하지 않은 것도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공청회는 서초·강남구 주민들이 퇴장한 이후 강동·송파구 주민들만 남은 가운데 오후 4시40분께부터 다시 진행됐다.
정경균 운영위원장은 "회의장 규모로 봐서 후보지 13곳 주민들을 모두 참석시켜 진행할 수 없었다"며 "더이상 공청회 계획은 없으며 이제 부지선정위원과 자문위, 고문단 등과 함께 서울추모공원 부지를 확정, 발표하는 것만 남았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