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와 경기도노조의 노사갈등이 고소고발 사태가 발생하는 등 최고조에 올랐다.
민주노총 산하 경기도노조 고양분회(분회장 이영진)는 지난 4월23일부터 노조전임자 5명 인정과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고 지난 4월23일부터 고양시청사 주차장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경기도노조는 특히 지난 4월25일 집회 후 시청사 진입때 시청 직원과 몸싸움을 벌이던 중 조합원 2명이 시 공무원에게 폭행을 당해 전치 5주의 상해를 입었다며 고양경찰서에 고소하면서 갈등이 증폭됐다.
또한 경기도노조와 고양시는 단체협약안 중 노조전임자의 수와 노조사무실의 평수 등 미묘한 부분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특히 환경미화원들의 수당 등과 관련된 임금협상이 결렬, 합의점을 전혀 찾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노조는 환경미화원들의 수당을 총 17만원 올릴 것을 요구했지만, 고양시는 환경미화원을 제외한 청사관리원 재활용선별원 등의 기본급 6.7% 인상안을 주장하고 있어 지난 10일 3차 협상 이후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노조 관계자는 "단협안과 임금인상분에 대해서는 노조가 제기한 협상안에 대해 고양시가 중재안을 내와야 할 것"이라며 "특히 단협안에 대해서는 노조가 충분히 조정 의사를 밝혔음에도 구체적 중재안을 제기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고양시 노사협의 담당 이한기씨는 "노조측에서 무리한 단협안을 제시해 놓고 양보 의사를 보이지 않아 협의점을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
<경기도 지자체="" 협상="" 주목="">
경기도노조와 고양시청과의 갈등은 협상결과에 따라 경기도내 타 지자체의 노사협상에 선례를 남기게 돼 양측 모두 한 치의 양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경기도에서 협상이 타결된 곳은 의정부시와 포천군 등으로 이들의 경우 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 운영하기 때문에 해당 지자체와 직접 협상하지 않고 타결됐다.
반면 고양시의 경우는 시와 노조가 직접 협상 테이블을 구성, 협상을 벌이고 있어 수원시나 부천시 등의 협상 진행지역으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노동부 의정부지방노동사무소 고 인 담당관은 "중재 조정까지 했지만 결렬된 사안이어서 현재는 양측의 의사가 중요하다"며 "특히 고양시 관련 분쟁은 경기도내 부천이나 수원 등 주변도시에 영향을 미칠 소지가 있어 해결 기간이 오래 걸릴 것 같다"고 밝혔다.
특히 고양분회 조합원이 340여명으로 경기도노조 전체 조합원 1천여명의 30% 이상을 차지해 경기도노조에서도 고양시 협상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양시도 또한 "지난 2월 노조측에서 사실과 다른 공무원 횡령 문제를 제기 노조 간부를 명예훼손으로 고발했다"며 "노조에서 조정안을 제시하기 전까지는 협상 결렬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결국 경기도내 타 지자체의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부담감이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노사양측 모두 소신있는 협상 의지가 없이는 협상 결렬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고양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경기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