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금융위기에 국내 부동산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금융시장 불안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국내 부동산 시장침체와 연쇄반응을 일으켜 한국판 서브프라임 사태가 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2006년 말 50조3000억원에서 2007년말 70조5000억원, 올해 3월말 73조원으로 늘었다. 은행이 43조9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저축은행(12조4000억원)과 보험사(5조원) 순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 11.6%에서 올해 3월 말 14.1%, 4월 말 15.6%, 5월 말 16.0%로 빠르게 늘고 있어 금융불안을 심화시키고 있다. 저축은행 PF 대출은 전체 여신의 24%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2006~2007년 부동산 시장이 호황일 당시 대규모로 이뤄졌던 PF대출 만기가 하반기에 집중되면 저축은행과 부동산 업계의 자금압박은 더 심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건설업체의 회사채 만기 도래액은 6월에 1200억원에서 7월 2687억원, 8월엔 3800억원으로 늘어나고 있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지금처럼 가라앉는다면 무사할 곳이 얼마나 되겠느냐”면서 “특히 지방건설사들과 연계돼 있는 지역의 중소 저축은행은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PF대출의 이같은 부실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토해양부가 밝힌 공식적인 미분양아파트는 4월말 현재 12만9859가구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20만~25만가구로 추산하고 있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가구당 분양가를 2억원 정도로만 계산해도 40조~50조원의 돈이 미분양에 묶여 있는 셈이다.
올 상반기에만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를 포함해 188개 업체가 부도를 냈다. 하루에 1개꼴이다. 500위권 업체에 이어 최근에는 시공능력평가 324위의 인정건설이 부도처리됐다. 100위권 이내 업체의 부도 역시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평가다.
저축은행뿐만 아니다. 은행 PF 대출 연체율 역시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말 은행권의 작년 연체율은 0.44%에서 올해 3월 말 0.82%로 두배 가량 상승했다. 미분양에 따른 건설사 부도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심해질 경우 은행권의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외부적 요인으로 고유가와 인플레이션 등이 맞물리면서 금리는 뛰고 부동산 시장 경색은 더욱 심해져 금융권 PF대출 연체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감독당국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금융감독당국이 추가 PF 대출을 막아 부실이 커지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금리인상도 부동산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재철 허신열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국내 부동산 시장침체와 연쇄반응을 일으켜 한국판 서브프라임 사태가 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2006년 말 50조3000억원에서 2007년말 70조5000억원, 올해 3월말 73조원으로 늘었다. 은행이 43조9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저축은행(12조4000억원)과 보험사(5조원) 순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 11.6%에서 올해 3월 말 14.1%, 4월 말 15.6%, 5월 말 16.0%로 빠르게 늘고 있어 금융불안을 심화시키고 있다. 저축은행 PF 대출은 전체 여신의 24%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2006~2007년 부동산 시장이 호황일 당시 대규모로 이뤄졌던 PF대출 만기가 하반기에 집중되면 저축은행과 부동산 업계의 자금압박은 더 심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건설업체의 회사채 만기 도래액은 6월에 1200억원에서 7월 2687억원, 8월엔 3800억원으로 늘어나고 있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지금처럼 가라앉는다면 무사할 곳이 얼마나 되겠느냐”면서 “특히 지방건설사들과 연계돼 있는 지역의 중소 저축은행은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PF대출의 이같은 부실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토해양부가 밝힌 공식적인 미분양아파트는 4월말 현재 12만9859가구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20만~25만가구로 추산하고 있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가구당 분양가를 2억원 정도로만 계산해도 40조~50조원의 돈이 미분양에 묶여 있는 셈이다.
올 상반기에만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를 포함해 188개 업체가 부도를 냈다. 하루에 1개꼴이다. 500위권 업체에 이어 최근에는 시공능력평가 324위의 인정건설이 부도처리됐다. 100위권 이내 업체의 부도 역시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평가다.
저축은행뿐만 아니다. 은행 PF 대출 연체율 역시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말 은행권의 작년 연체율은 0.44%에서 올해 3월 말 0.82%로 두배 가량 상승했다. 미분양에 따른 건설사 부도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심해질 경우 은행권의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외부적 요인으로 고유가와 인플레이션 등이 맞물리면서 금리는 뛰고 부동산 시장 경색은 더욱 심해져 금융권 PF대출 연체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감독당국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금융감독당국이 추가 PF 대출을 막아 부실이 커지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금리인상도 부동산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재철 허신열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