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역 폐기물투기 대책 시급

해양투기 지난해 710만㎥ … 3000여개 처리업체 난립

지역내일 2001-05-24 (수정 2001-05-25 오전 7:39:00)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 버려지는 폐기물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나 이를 규제할 효과적인 대
책이 없어 시급히 제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양경찰청 이봉길 감시과장은 24일 오후 전남 여수대학에서 열린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1년 춘계학술대회’에서 이같은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 과장은 ‘폐기물 해양배출 제도 개선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문을 통해 우리나라 해역에
버려지고 있는 폐기물은 지난 88년 55만2000㎥에서 지난해는 710만4000㎥로 조사돼 13년만
에 무려 13배 가까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 과장은 또 “해양투기 규제는 국제적인 추세로 일본의 경우 육상폐기물의 해양투기량이
95년 740만9000t에서 98년에는 539만1000t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발표문에서 “우리나라 폐기물 투기량이 늘고 있는 것은 폐기물 위탁처리업체 등
록이 계속 늘고 있는데다 해경에서 신고필증만 받으면 지정된 배출해역에 마음대로 투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전국에 3000여개의 위탁처리업체가 난립해 배출물이 처리기준에 적합한지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고 투기장소가 3개 해역에 비교적 넓게 지정돼 있는데도 육지에서 가까운 곳에 집중적
으로 버려지고 있어 해양오염을 심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울산 동남쪽 1616㎢와 포항 동쪽 3700㎢, 군산 서쪽 3165㎢가 폐기물 배
출해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 과장은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해역별 허용총량을 규제하는 배출총량관리제 도입 △
폐기물 위탁업자, 수집·운반업자, 해양배출업자, 감독청이 폐기물 인수·인계전표 제출 또
는 보관 △일정 규모 이상 폐기물에 대한 연구기관의 성분검사표 제출 등을 제시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