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금주중 '각 시·군 인사담당 연석회의'를 계획하는 등 2차 구조조정이 직면함에 따라 최근 공무원들은 '좌불안석(坐不安席)'이다.
원주시 6급 모 주사는 "올해안에 승진기회가 없으면 퇴직하는 일만 남았다"고 토로했고, 7급 모 주사보는 "퇴출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불안함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했다.
원주시 인사담당 부서에는 매주 몇 통 이상 구조조정 관련 전화문의가 계속되고 있다.
이같은 이유는 행정자치부가 '2천년 지방자치단체 조직관리지침'을 통해 차질없는 구조조정추진을 지시한데 이어 ▲정원관리실태 감사실시 ▲직권면직이라는 칼을 빼들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원주시는 98년 175명, 99년 26명(2000년 상반기 실행)을 감축한데 이어 2000년 31명, 2001년 60명을 퇴출해야 하는 실정이다. 원주시는 정원 1,174명(2000년 기준)에 현원 1,184명이 복무하고 있어 초과인원이 10명이다.
하지만 직능별로는 일반직의 경우 60명이 모자른 반면 기능직은 70명이 초과된 실정이다. 때문에 기능직 중심의 구조조정의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원주시 자치행정과 백종수 인사담당은 "일반직 정원이 크게 부족함에 따라 기능직 공무원중 상당수를 일반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올해 구조조정 대상인 31명은 기능직의 일반직 전환과 명예퇴직 등으로 자연감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퇴출대상자가 60명에 이르는 2001년 기준을 놓고, 부심하고 있다.
한편 충북도는 자격증 유무, 컴퓨터 사용 능력, 징계기록, 연령·병역 등을, 전남·전북도는 고령자와 기능·일용직을 우선 퇴출 대상자로 선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원주시 6급 모 주사는 "올해안에 승진기회가 없으면 퇴직하는 일만 남았다"고 토로했고, 7급 모 주사보는 "퇴출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불안함에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했다.
원주시 인사담당 부서에는 매주 몇 통 이상 구조조정 관련 전화문의가 계속되고 있다.
이같은 이유는 행정자치부가 '2천년 지방자치단체 조직관리지침'을 통해 차질없는 구조조정추진을 지시한데 이어 ▲정원관리실태 감사실시 ▲직권면직이라는 칼을 빼들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원주시는 98년 175명, 99년 26명(2000년 상반기 실행)을 감축한데 이어 2000년 31명, 2001년 60명을 퇴출해야 하는 실정이다. 원주시는 정원 1,174명(2000년 기준)에 현원 1,184명이 복무하고 있어 초과인원이 10명이다.
하지만 직능별로는 일반직의 경우 60명이 모자른 반면 기능직은 70명이 초과된 실정이다. 때문에 기능직 중심의 구조조정의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원주시 자치행정과 백종수 인사담당은 "일반직 정원이 크게 부족함에 따라 기능직 공무원중 상당수를 일반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올해 구조조정 대상인 31명은 기능직의 일반직 전환과 명예퇴직 등으로 자연감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퇴출대상자가 60명에 이르는 2001년 기준을 놓고, 부심하고 있다.
한편 충북도는 자격증 유무, 컴퓨터 사용 능력, 징계기록, 연령·병역 등을, 전남·전북도는 고령자와 기능·일용직을 우선 퇴출 대상자로 선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