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 동기대비 4.8%에 그쳤다. 내수부진이 큰 원인이다. 수출과 설비투자 호조에도 불구하고 고물가와 고용사정 악화 등으로 실질소득이 줄고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민간소비가 4년만에 최악을 기록했다. 건설업 성장률도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8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실질 GDP는 전년동기보다 4.8%, 전기보다 0.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 대비 GDP 성장률은 1분기 5.8%에 비해 2분기에는 1%포인트나 급락했다. 전기대비 성장률도 지난해 2분기 1.7%에서 3분기 1.5%, 4분기 1.6% 등이었으나, 올 들어 1분기 0.8%로 반 토막 난 뒤 2분기에도 연속 1%를 밑돌았다.
한은은 이달초 2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1.0%, 지난해 동기보다 5.0%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이런 전망을 각각 0.2%포인트 밑돌았다. 한은은 예상보다 민간소비와 건설업이 부진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간소비는 서비스와 비내구재 소비지출의 증가세가 둔화된 데다 내구재와 준내구재의 소비지출이 줄어 0.1% 감소했다. 2004년 2분기 0.1% 감소한 이후 4년만의 첫 감소세다. 건설업도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의 부진이 지속돼 전기 대비 2.4%나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이 증가로 전환되고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도 늘어났으나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이 감소해 전기보다 0.5%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내수부문의 성장률이 크게 둔화해 0.3% 증가에 그쳤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가 늘어나 전기대비 1.0% 증가한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건설 투자가 부진해 전기대비 0.6% 감소했다.
반면 제조업은 음식료품, 섬유가죽제품 등이 부진했으나 반도체와 영상음향통신 등 IT 제조업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 전기대비 2.2%로 크게 올랐다.
교역조건을 반영한 실질 GDI는 전기에 비해 원유 등 수입상품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1.6% 증가해 전분기 2.1% 감소한 데 비해 체감경기가 개선된 것으로 파악됐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8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실질 GDP는 전년동기보다 4.8%, 전기보다 0.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 대비 GDP 성장률은 1분기 5.8%에 비해 2분기에는 1%포인트나 급락했다. 전기대비 성장률도 지난해 2분기 1.7%에서 3분기 1.5%, 4분기 1.6% 등이었으나, 올 들어 1분기 0.8%로 반 토막 난 뒤 2분기에도 연속 1%를 밑돌았다.
한은은 이달초 2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1.0%, 지난해 동기보다 5.0%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이런 전망을 각각 0.2%포인트 밑돌았다. 한은은 예상보다 민간소비와 건설업이 부진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간소비는 서비스와 비내구재 소비지출의 증가세가 둔화된 데다 내구재와 준내구재의 소비지출이 줄어 0.1% 감소했다. 2004년 2분기 0.1% 감소한 이후 4년만의 첫 감소세다. 건설업도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의 부진이 지속돼 전기 대비 2.4%나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이 증가로 전환되고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도 늘어났으나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이 감소해 전기보다 0.5%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내수부문의 성장률이 크게 둔화해 0.3% 증가에 그쳤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가 늘어나 전기대비 1.0% 증가한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건설 투자가 부진해 전기대비 0.6% 감소했다.
반면 제조업은 음식료품, 섬유가죽제품 등이 부진했으나 반도체와 영상음향통신 등 IT 제조업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 전기대비 2.2%로 크게 올랐다.
교역조건을 반영한 실질 GDI는 전기에 비해 원유 등 수입상품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1.6% 증가해 전분기 2.1% 감소한 데 비해 체감경기가 개선된 것으로 파악됐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