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단 전무·500인이상 기업 33개뿐 ...'낙동강 오리알 신세' 자탄
지난 25일 늦은 오후 대구시청 대회의실. 지난 4·9 총선이후 처음으로 대구지역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이 대구시청 간부들과 머리를 맞댔다. 정책간담회 자리였지만 단연 화두는 어려운 지역경제 회생대책이었다. 이른바 당정협의회에선 통상 대구시가 예산지원이나 굵직한 지역현안 해결을 건의하고 국회의원이 답변하는 것이 관례였다.
첫 발언에 나선 박근혜의원은 김범일 대구시장에게 “고유가, 고원자재가, 부동산 경기침체 등으로 자영업과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장기대책도 필요하지만 당장 숨통을 틔워줄 단기대책도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이명규의원도 “심각한 생활고를 겪고 있는 서민을 위한 단기대책을 마련하는데 소홀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는 대구 경북지역이 전국 최하위권의 경제도시로 전락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자리였다. 대구시와 한나라당 의원들은 지난 10여년동안 중앙정부 주도의 개발정책이 대구 경북을 비켜가고 지역의 산업인프라는 악화일로에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대구시는 실제 1인당 지역내 총생산(GRDP) 및 경제성장률이 지난 1993년 이후 전국 최하위다. 지난해말 대구의 1인당 GRDP는 1만1743달러에 그쳤다.
또 전국 15개 시·도 가운데 국가산업단지와 국내 30대그룹 대기업이 전무하며 500인 이상 사업체수는 최근 10년만에 절반인 33개(2006년 통계)로 감소했다.
산업생산 증가율도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0.5%로 전국 평균 10%에 턱없이 부족했다. 기업들의 자금사정지표인 어음부도율도 올해 2분기말 0.27%로 전국 평균(0.22%)보다 높았다.
대구시가 최근 정부의 6·11 미분양 대책에 따라 시공사들로부터 미분양 아파트 현황 신고를 받은 결과, 6월말 기준 지역내 미분양 아파트는 2만801가구로 조사됐다. 건설업계는 분양가 기준으로 6조원 이상이 묶여 있다고 보고 있다.
대구시는 실물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지난 25일 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지역금융기관장 간담회를 개최해 지역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대책을 모색했다.
김연수 대구시 기획관리실장은 “대구는 70~80년대 섬유산업과 우수한 인재배출로 국가경제 도약을 주도했으나 지난 10여년간 수도권 집중과 서남해안중심개발정책, 내륙도시 한계 등으로 장기 침체기를 맞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지난 25일 늦은 오후 대구시청 대회의실. 지난 4·9 총선이후 처음으로 대구지역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이 대구시청 간부들과 머리를 맞댔다. 정책간담회 자리였지만 단연 화두는 어려운 지역경제 회생대책이었다. 이른바 당정협의회에선 통상 대구시가 예산지원이나 굵직한 지역현안 해결을 건의하고 국회의원이 답변하는 것이 관례였다.
첫 발언에 나선 박근혜의원은 김범일 대구시장에게 “고유가, 고원자재가, 부동산 경기침체 등으로 자영업과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장기대책도 필요하지만 당장 숨통을 틔워줄 단기대책도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이명규의원도 “심각한 생활고를 겪고 있는 서민을 위한 단기대책을 마련하는데 소홀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는 대구 경북지역이 전국 최하위권의 경제도시로 전락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자리였다. 대구시와 한나라당 의원들은 지난 10여년동안 중앙정부 주도의 개발정책이 대구 경북을 비켜가고 지역의 산업인프라는 악화일로에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대구시는 실제 1인당 지역내 총생산(GRDP) 및 경제성장률이 지난 1993년 이후 전국 최하위다. 지난해말 대구의 1인당 GRDP는 1만1743달러에 그쳤다.
또 전국 15개 시·도 가운데 국가산업단지와 국내 30대그룹 대기업이 전무하며 500인 이상 사업체수는 최근 10년만에 절반인 33개(2006년 통계)로 감소했다.
산업생산 증가율도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0.5%로 전국 평균 10%에 턱없이 부족했다. 기업들의 자금사정지표인 어음부도율도 올해 2분기말 0.27%로 전국 평균(0.22%)보다 높았다.
대구시가 최근 정부의 6·11 미분양 대책에 따라 시공사들로부터 미분양 아파트 현황 신고를 받은 결과, 6월말 기준 지역내 미분양 아파트는 2만801가구로 조사됐다. 건설업계는 분양가 기준으로 6조원 이상이 묶여 있다고 보고 있다.
대구시는 실물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지난 25일 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지역금융기관장 간담회를 개최해 지역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대책을 모색했다.
김연수 대구시 기획관리실장은 “대구는 70~80년대 섬유산업과 우수한 인재배출로 국가경제 도약을 주도했으나 지난 10여년간 수도권 집중과 서남해안중심개발정책, 내륙도시 한계 등으로 장기 침체기를 맞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