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임원 선임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29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정부와 여당은 현행 공기업 임원 선발 절차에 낭비 요소가 있다는 데 인식을 함께 하고 개선방안을 찾고 있다.기획재정부 고위관계자는 "공공기관운영법에 따른 임원 선임 절차가 복잡해 해당 공공기관의 업무 공백이 길어지고 이 과정에서 정치권에 줄대기가 심화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선발 절차를 단순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공기관운영법이 정한 절차 중 옥상옥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단축하거나 없애는 것이 옳다고 본다"며 "현재로선 임원추천위원회의 심사.추천을 빼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런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공공기관운영법 개정안을 마련한 후 9월 정기국회에 제출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현행 공공기관운영법에서 공기업의 장은 후보자 모집, 임원추천위원회의 심사 및 추천(3~5배수),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심의(2~3배수), 주무기관장의 제청, 대통령 임명 등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에 비해 준정부기관의 장은 후보자 모집, 임원추천위원회의 심사 및 추천, 주무기관장 임명 등으로 다소 간단하다.공기업의 장에 대한 공모제를 시행하면 통상 2개월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마땅한 인사가 없어 재공모가 진행돼 3~4개월 이상 소요되는 사례도 최근 속속 등장하고 있다.재정부가 한나라당 배영식 의원에게 최근 제출한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 공석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기관장 101석 중 39.6%인 40석이 현재 공석 상태다. 감사역시 97석 중 36%인 35석이 자리를 채우지 못하고 있다.
배 의원은 "마땅한 공기업 CEO가 없어 5개월여 간 상당수 자리가 공석이 돼 업무 공백이 커지고 직원들의 모럴해저드 등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며 "공익성이 강한공기업은 임명제로 변경하는 등 2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기관장 선임 절차를 단축하는 법률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정권교체로 임원 재신임이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이런 소문이 현실화되면서 사실상 지난해 말부터 결재라인이 비어 있다"며 "최근에는 공기업 민영화 등 중장기 개편까지 맞물리면서 수개월째 공회전을 하고 있다고 보면된다"고 말했다.
speed@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이 관계자는 "공공기관운영법이 정한 절차 중 옥상옥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단축하거나 없애는 것이 옳다고 본다"며 "현재로선 임원추천위원회의 심사.추천을 빼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런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공공기관운영법 개정안을 마련한 후 9월 정기국회에 제출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현행 공공기관운영법에서 공기업의 장은 후보자 모집, 임원추천위원회의 심사 및 추천(3~5배수),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심의(2~3배수), 주무기관장의 제청, 대통령 임명 등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에 비해 준정부기관의 장은 후보자 모집, 임원추천위원회의 심사 및 추천, 주무기관장 임명 등으로 다소 간단하다.공기업의 장에 대한 공모제를 시행하면 통상 2개월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마땅한 인사가 없어 재공모가 진행돼 3~4개월 이상 소요되는 사례도 최근 속속 등장하고 있다.재정부가 한나라당 배영식 의원에게 최근 제출한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 공석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기관장 101석 중 39.6%인 40석이 현재 공석 상태다. 감사역시 97석 중 36%인 35석이 자리를 채우지 못하고 있다.
배 의원은 "마땅한 공기업 CEO가 없어 5개월여 간 상당수 자리가 공석이 돼 업무 공백이 커지고 직원들의 모럴해저드 등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며 "공익성이 강한공기업은 임명제로 변경하는 등 2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기관장 선임 절차를 단축하는 법률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정권교체로 임원 재신임이 어렵다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이런 소문이 현실화되면서 사실상 지난해 말부터 결재라인이 비어 있다"며 "최근에는 공기업 민영화 등 중장기 개편까지 맞물리면서 수개월째 공회전을 하고 있다고 보면된다"고 말했다.
speed@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