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최고 성수기를 맞은 빙과와 음료업체들이 작년보다 높은 판매실적을 달성해 쾌재를 부르고 있다.
‘마른 장마’ 등 무더운 날씨와 국내 여행객이 증가한 덕을 봤고 상반기에 제품가격을 올린 것이 매출 상승에 한 몫을 담당했다는 평가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빙과업체들은 7월 매출이 작년보다 20% 안팎씩 증가했다. 롯데제과는 7월 빙과류 매출이 660억원으로 작년 동월의 550억원보다 20% 올랐다. 대표제품 중 하나인 ‘스크류바’는 11% 증가한 50억원 어치가 팔렸다. 해태제과도 지난 달 빙과류에서 28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작년 동기의 226억원에서 26%나 증가한 수치다. 주력상품인 ‘폴라포’는 작년 7월의 11억원보다 109% 증가한 23억원어치가 팔렸고 판매량도 46%나 증가했다. 얼음조각과 과일맛을 이용해 상큼한 맛을 강조한 제품이어서 무더운 날씨 덕을 톡톡히 봤다고 해태제과는 전했다. 빙그레도 같은 기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 늘었고 전달인 6월보다 22% 증가했다.
음료업체 매출 역시 크게 올랐다. 롯데칠성은 7월 매출이 작년 7월보다 10% 이상 늘었고, 제품별로는 커피음료 ‘칸타타’ 100%, ‘실론티’ 70%, ‘게토레이’ 35% 등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동아오츠카 역시 7월 한 달 간 221억원의 매출을 올려 작년 동기 대비 24% 가량성장했으며 특히 이온음료 ‘포카리스웨트’는 32%나 올랐다.
이처럼 7월 매출이 증가한 것은 예년보다 비가 덜 오고 무더웠던 ‘마른 장마’의영향을 받은 데다 경제 침체로 해외 대신 국내여행을 택하는 피서객들이 늘어난 때문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많이 팔리지 않는 주스류 판매가 크게 늘어 롯데칠성에서는 ‘델몬트 페트주스’와 ‘트로피카나 페트주스’의 매출이 각각 30%, 50%씩 증가했는데 이는 국내 여행지로 떠나는 가족단위 피서객이 늘어난 방증이라는 것이다.
연초부터 이어진 가격 인상도 매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빙과·음료 업체들은 원가 상승 등을 이유로 올해 상반기 동안 순차적으로 주요 제품 가격을 올렸는데 음료의 경우 인상률이 10% 안팎, 빙과류는 20%에서 최고 50%에 달했다.
7월 롯데제과의 빙과류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4∼5%, 해태제과는 8% 가량 늘어나는 데 그쳐 두 자릿수 신장을 기록한 매출에 미치지 못하는 것도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