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역연구원 ‘중국 진출 기업 설문조사’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은 북경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가 2~3년간 조정국면을 거치지만 장기적으로는 8~9%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지난 상반기 상승세를 보인 위안화 시세, 금리 및 물가의 불안 양상은 올림픽 이후에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서비스업, 환경산업, 레저산업 등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이경태)은 지난 7월말 중국진출 우리기업 158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서 기업들은 북경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에 대해 ‘지금과 별 차이가 없을 것’(42.4%)이고 ‘경제는 소폭 하락’(41.2%)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이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가 급락하지 않는 이유로 △북경의 GDP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에 불과 △북경 올림픽에 의한 경제상승효과는 전체 GDP의 2% △올림픽 이후에도 북경의 도시화는 계속 확대될 것 등을 꼽았다.
현지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불안한 중국의 경제지표들이 올림픽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위안화, 금리, 물가가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현지기업이 각각 76.7%, 56.1%, 95.2% 에 달하며, 부동산과 주식가격이 하락한다고 응답한 기업도 각각 41.4%, 38.9%를 차지했다. 또한, 수출과 시설투자는 줄어들면서, 수입은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는 소비가 크게 확대되면서, 환경, 서비스, 레저 산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유망 산업으로는 금융 물류 인력육성 등 서비스 산업과, 첨단 하이테크 산업과 건설 인프라 건설 분야로 답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은 “중국 현지 경제학자들의 시각은 중국 경제는 향후 2~3년간의 조정기를 거친 후, 앞으로 10~20년은 8~9%대의 고성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고 밝혔다.
무협 북경지부는 “기업들은 북경 올림픽 보다는 그 이후의 중국 정책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향후 중국의 정책은 양보다는 질을 추구하는 내실화 정책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우리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정책의 변화에 예의 주시하고, 동시에 준법 경영과 장기 경영전략이 필요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현지 원자재 조달 가격이 대폭 상승한 가운데, 최근 중국 정부의 고용, 조세, 환경, 투자 등의 분야에 대한 기업정책이 크게 달라져 중국진출 우리기업들의 기업경영환경은 1년 전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북경 올림픽 특수를 통해 현지 우리기업들의 어려움이 해소되기를 기대하였지만, 북경지역의 물류 수배송 제한, 그에 따른 물가 상승 및 내수 감소, 건설 공사 제한 등으로 올림픽으로 인해 오히려 매출 감소(27.4%)를 우려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은 북경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가 2~3년간 조정국면을 거치지만 장기적으로는 8~9%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지난 상반기 상승세를 보인 위안화 시세, 금리 및 물가의 불안 양상은 올림픽 이후에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서비스업, 환경산업, 레저산업 등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이경태)은 지난 7월말 중국진출 우리기업 158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서 기업들은 북경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에 대해 ‘지금과 별 차이가 없을 것’(42.4%)이고 ‘경제는 소폭 하락’(41.2%)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이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가 급락하지 않는 이유로 △북경의 GDP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에 불과 △북경 올림픽에 의한 경제상승효과는 전체 GDP의 2% △올림픽 이후에도 북경의 도시화는 계속 확대될 것 등을 꼽았다.
현지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불안한 중국의 경제지표들이 올림픽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위안화, 금리, 물가가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현지기업이 각각 76.7%, 56.1%, 95.2% 에 달하며, 부동산과 주식가격이 하락한다고 응답한 기업도 각각 41.4%, 38.9%를 차지했다. 또한, 수출과 시설투자는 줄어들면서, 수입은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는 소비가 크게 확대되면서, 환경, 서비스, 레저 산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유망 산업으로는 금융 물류 인력육성 등 서비스 산업과, 첨단 하이테크 산업과 건설 인프라 건설 분야로 답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은 “중국 현지 경제학자들의 시각은 중국 경제는 향후 2~3년간의 조정기를 거친 후, 앞으로 10~20년은 8~9%대의 고성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고 밝혔다.
무협 북경지부는 “기업들은 북경 올림픽 보다는 그 이후의 중국 정책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향후 중국의 정책은 양보다는 질을 추구하는 내실화 정책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우리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정책의 변화에 예의 주시하고, 동시에 준법 경영과 장기 경영전략이 필요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현지 원자재 조달 가격이 대폭 상승한 가운데, 최근 중국 정부의 고용, 조세, 환경, 투자 등의 분야에 대한 기업정책이 크게 달라져 중국진출 우리기업들의 기업경영환경은 1년 전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북경 올림픽 특수를 통해 현지 우리기업들의 어려움이 해소되기를 기대하였지만, 북경지역의 물류 수배송 제한, 그에 따른 물가 상승 및 내수 감소, 건설 공사 제한 등으로 올림픽으로 인해 오히려 매출 감소(27.4%)를 우려했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