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대 특판예금, 시한보다 빨리 마감
주가하락·부동산시장 침체로 안전자산 선호
최근 주가 하락과 부동산시장의 침체로 투자처를 찾지 못해 떠도는 유동 자금이 고금리 예금으로 몰리고 있다.
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은행과 저축은행 등 서민금융기관은 유동 자금을 잡기 위해 6~7%대 고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예금을 내놓고 있으며 이들 상품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은행 특판예금 ‘불티’ = 외환은행이 지난 달 7일부터 1조원 한도로 팔기 시작한 ‘마이 파트너 예금’은 금리 연 6% 상품으로 지난 달 28일에 모두 팔렸다. 당초 8월 말까지 판매할 예정이었지만 예상보다 빨리 마감한 것이다.
이에 따라 외환은행은 지난 달 28일부터 새 특판 예금인 ‘YES 큰기쁨예금’(연 금리 6.28%)을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엿새 동안 2600억원어치를 팔았다.
농협이 지난 달 1일부터 선보인 ‘NH 하하예금’도 이달 4일까지 1조3000억원대 자금을 유치했다. 이 상품은 기본금리 5.25% 뿐 아니라 조건에 따라 1.5%포인트의 금리를 추가해 최대 6.75%까지 이자를 지급한다.
고금리 예금으로 자금이 몰림에 따라 시중 은행들은 특판 예금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최근 하나은행은 주가지수예금과 동시에 가입할 경우 연 7.1% 확정금리를 지급하는 특판예금 상품을 내놓았고 경남은행도 최고 연 6.6%의 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상품을 이달 말까지 2000억원 한도로 판매하고 있다.
수협은행 역시 이달 말까지 2000억원 한도로 연 6.5% 금리를 제공하는 예금을 특별 판매한다.
◆저축은행도 금리인상 잇따라 =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신라저축은행과 늘푸른저축은행은 6일부터 1년 이상 정기예금 금리를 각각 6.8%로 인상했다. 이들이 제시한 금리를 은행 기준 복리로 계산하면 7.01%에 달한다.
최근 3개월 동안 현대스위스와 스카이, 국제, 서울, 영풍, 대영, 신민, 진흥 등20여개 저축은행이 시중금리 상승에 따라 예금금리를 인상했으며 이들이 제시한 1년만기 정기예금의 금리는 6.32~6.85%다.
또 에이스저축은행이 4일부터 300억원 한도로 연 6.85% 금리를 적용하는 정기예금을 판매하는 등 은행 기준 금리가 7% 이상인 특판예금 판매도 활발하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저축은행 예금도 예금자 보호 상품이어서 회사가 부도나더라도 원리금 5000만원까지 보장된다”며 “회사의 건전성을 확인하려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 여신비율 등을 확인하면 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주가하락·부동산시장 침체로 안전자산 선호
최근 주가 하락과 부동산시장의 침체로 투자처를 찾지 못해 떠도는 유동 자금이 고금리 예금으로 몰리고 있다.
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은행과 저축은행 등 서민금융기관은 유동 자금을 잡기 위해 6~7%대 고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예금을 내놓고 있으며 이들 상품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은행 특판예금 ‘불티’ = 외환은행이 지난 달 7일부터 1조원 한도로 팔기 시작한 ‘마이 파트너 예금’은 금리 연 6% 상품으로 지난 달 28일에 모두 팔렸다. 당초 8월 말까지 판매할 예정이었지만 예상보다 빨리 마감한 것이다.
이에 따라 외환은행은 지난 달 28일부터 새 특판 예금인 ‘YES 큰기쁨예금’(연 금리 6.28%)을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엿새 동안 2600억원어치를 팔았다.
농협이 지난 달 1일부터 선보인 ‘NH 하하예금’도 이달 4일까지 1조3000억원대 자금을 유치했다. 이 상품은 기본금리 5.25% 뿐 아니라 조건에 따라 1.5%포인트의 금리를 추가해 최대 6.75%까지 이자를 지급한다.
고금리 예금으로 자금이 몰림에 따라 시중 은행들은 특판 예금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최근 하나은행은 주가지수예금과 동시에 가입할 경우 연 7.1% 확정금리를 지급하는 특판예금 상품을 내놓았고 경남은행도 최고 연 6.6%의 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상품을 이달 말까지 2000억원 한도로 판매하고 있다.
수협은행 역시 이달 말까지 2000억원 한도로 연 6.5% 금리를 제공하는 예금을 특별 판매한다.
◆저축은행도 금리인상 잇따라 =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신라저축은행과 늘푸른저축은행은 6일부터 1년 이상 정기예금 금리를 각각 6.8%로 인상했다. 이들이 제시한 금리를 은행 기준 복리로 계산하면 7.01%에 달한다.
최근 3개월 동안 현대스위스와 스카이, 국제, 서울, 영풍, 대영, 신민, 진흥 등20여개 저축은행이 시중금리 상승에 따라 예금금리를 인상했으며 이들이 제시한 1년만기 정기예금의 금리는 6.32~6.85%다.
또 에이스저축은행이 4일부터 300억원 한도로 연 6.85% 금리를 적용하는 정기예금을 판매하는 등 은행 기준 금리가 7% 이상인 특판예금 판매도 활발하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저축은행 예금도 예금자 보호 상품이어서 회사가 부도나더라도 원리금 5000만원까지 보장된다”며 “회사의 건전성을 확인하려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 여신비율 등을 확인하면 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