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지정 및 시기 연기.일부 축소 검토
(대구=연합뉴스) 류성무 기자 = 대구시가 도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역점 추진해온 뉴타운 사업의 추진 시기가 미뤄지거나 사업 일부가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동구 신암 1ㆍ4동 지역을 도시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한 데 이어 올해 3~4곳을 추가로 도시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전면 재검토키로 했다.
시는 오는 9~10월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거쳐 사업 축소 여부와 추진 시기 등을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대구지역 8개 구.군 가운데 동.수성구와 달성군을 제외한 중.서.남.북.달서구 5개 구에서 10개 지역이 도시재정비 촉진지구 지정을 신청했으나 최근 심사작업이 사실상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극심한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감안할 때 연내 뉴타운 추가 지정은 사실상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추가 지정 대상의 축소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미 지정된 신암 1ㆍ4동 지역의 경우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그동안 뉴타운이 주거지형은 50만㎡ 이상, 중심지형은 20만㎡ 이상 대단위로 추진되기 때문에 소규모 단위의 재개발 및 재건축에 비해 체계적인 도심 재정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업 추진에 의욕을 보여 왔다.대구시가 도심 뉴타운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고 나선 것은 지역 부동산시장 상황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대구시가 지역 미분양 아파트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말 현재 미분양 물량이 2만801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00년 미분양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물량이다.
시 관계자는 "사업추진 여건 등을 감안하지 않고 도시재정비 촉진지구를 추가 지정할 경우 토지거래 및 건축행위 제한 등 주민의 피해가 클 수 있다"면서 "부동산시장 추이를 살펴보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사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tjda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대구=연합뉴스) 류성무 기자 = 대구시가 도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역점 추진해온 뉴타운 사업의 추진 시기가 미뤄지거나 사업 일부가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동구 신암 1ㆍ4동 지역을 도시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한 데 이어 올해 3~4곳을 추가로 도시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전면 재검토키로 했다.
시는 오는 9~10월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거쳐 사업 축소 여부와 추진 시기 등을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대구지역 8개 구.군 가운데 동.수성구와 달성군을 제외한 중.서.남.북.달서구 5개 구에서 10개 지역이 도시재정비 촉진지구 지정을 신청했으나 최근 심사작업이 사실상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극심한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감안할 때 연내 뉴타운 추가 지정은 사실상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추가 지정 대상의 축소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미 지정된 신암 1ㆍ4동 지역의 경우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그동안 뉴타운이 주거지형은 50만㎡ 이상, 중심지형은 20만㎡ 이상 대단위로 추진되기 때문에 소규모 단위의 재개발 및 재건축에 비해 체계적인 도심 재정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업 추진에 의욕을 보여 왔다.대구시가 도심 뉴타운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고 나선 것은 지역 부동산시장 상황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대구시가 지역 미분양 아파트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말 현재 미분양 물량이 2만801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00년 미분양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물량이다.
시 관계자는 "사업추진 여건 등을 감안하지 않고 도시재정비 촉진지구를 추가 지정할 경우 토지거래 및 건축행위 제한 등 주민의 피해가 클 수 있다"면서 "부동산시장 추이를 살펴보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사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tjda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