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가 수도권 집중..돈 쏠림 심화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올해 상반기 금융기관 대출증가액의 71.5%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반기 중 대출 증가액은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하면서 대출 잔액이 1천100조 원을 넘어섰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8년 상반기 중 지역별 금융기관대출금 동향''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생명보험사.증권금융 제외)을 합한 금융기관의 총 대출금 잔액은 1천139조2천735억 원으로 작년 말보다 80조4천8억 원(7.6%) 증가했다.
이는 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과 중소기업대출이 꾸준히 증가한 가운데 올해 들어 인수.합병(M&A) 관련 대기업의 대출 수요가 크게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대출 증가 폭은 2006년 하반기 63조4천546억 원, 작년 상반기 65조9천619억 원,작년 하반기 76조1천982억 원에 이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이 중 서울.경기 등 수도권의 대출금 잔액은 743조9천493억 원으로 상반기 중 57조4천991억 원(8.4%) 늘어난데 반해 비수도권은 395조3천242억 원으로 22조9천17억원(6.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반기 대출 증가액의 71.5%가 수도권에 집중된 셈이다.이에 따라 전체 대출 잔액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6년 6월 말 63.9%에서 작년 말 64.8%, 올해 6월 말 65.3%로 높아졌다.
수도권 대출 쏠림 현상이 지속되는 것은 최근 수 년 간 부동산 가격이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오르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수도권에서 집중적으로 늘어난데 따른것으로 분석된다.수도권에 주로 포진해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금융기관 대출을 통한 자금조달을 늘린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상반기 중 지역별 대출 증가율은 서울이 8.9%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기(7.6%), 영남(6.8%), 충청(6.4%), 호남(4.9%) 등의 순이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올해 상반기 금융기관 대출증가액의 71.5%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반기 중 대출 증가액은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하면서 대출 잔액이 1천100조 원을 넘어섰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8년 상반기 중 지역별 금융기관대출금 동향''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생명보험사.증권금융 제외)을 합한 금융기관의 총 대출금 잔액은 1천139조2천735억 원으로 작년 말보다 80조4천8억 원(7.6%) 증가했다.
이는 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과 중소기업대출이 꾸준히 증가한 가운데 올해 들어 인수.합병(M&A) 관련 대기업의 대출 수요가 크게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대출 증가 폭은 2006년 하반기 63조4천546억 원, 작년 상반기 65조9천619억 원,작년 하반기 76조1천982억 원에 이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이 중 서울.경기 등 수도권의 대출금 잔액은 743조9천493억 원으로 상반기 중 57조4천991억 원(8.4%) 늘어난데 반해 비수도권은 395조3천242억 원으로 22조9천17억원(6.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반기 대출 증가액의 71.5%가 수도권에 집중된 셈이다.이에 따라 전체 대출 잔액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6년 6월 말 63.9%에서 작년 말 64.8%, 올해 6월 말 65.3%로 높아졌다.
수도권 대출 쏠림 현상이 지속되는 것은 최근 수 년 간 부동산 가격이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오르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수도권에서 집중적으로 늘어난데 따른것으로 분석된다.수도권에 주로 포진해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금융기관 대출을 통한 자금조달을 늘린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상반기 중 지역별 대출 증가율은 서울이 8.9%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기(7.6%), 영남(6.8%), 충청(6.4%), 호남(4.9%) 등의 순이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