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9대 임금인 성종은 온갖 질병에 시달리다 38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는데, ‘왕조실록’에는 무려 질환에 관해 73차례나 언급이 되어 있을 정도로 온갖 질병에 시달렸다. 성종 25년의 기록을 보면, 왕이 직접 13가지의 처방을 만들어 의관들에게 나누어주는 모습이 나올 정도이니 성종이 앓았던 질병이 다양하고 많았음을 가히 알 수 있다.
그 많은 병들 중에서 역시 가장 성종을 괴롭힌 질병은 서병(暑病)이라 할 수 있는데, 성종이 11세에 한명회의 집에서 얻은 서병이 매년 여름철만 되면 재발했으며, 심한 경우는 인사불성까지 갔었고 보통 두통과 감기, 설사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었다고 한다.
흔히 ‘더위 먹었다’라고 얘기하면서 가볍게 여기는 질병이 서병이다. 서병은 중한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질환이다. 예로부터 4계절 중에 여름이 가장 조섭하기 어려우니, 서병은 몸에 열이 나며, 식은땀이 흐르고 입이 마르며 얼굴에 때가 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더해 과학기계문명이 발달하면서 날 더운 여름철에 때 아니게 감기를 앓게 되는 경우가 부쩍 늘어났다.
여름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는 속담도 있지만, 사실은 의외로 주변에서 많이 앓는 질병이다. 여름철에는 땀구멍이 열려 수시로 땀을 흘리게 되어 있는데, 이 때 에어컨 등으로 부자연스럽게 기온을 낮추거나 땀구멍 조절을 잘못해주면 냉기가 몸속으로 스며들어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찬 기운에 노출되면 맑은 콧물과 재채기가 나고 머리가 아프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피부호흡을 좋게 해주거나 보음(補陰), 보기(補氣)시키면 증상이 사라진다.
이러한 서병을 막기 위해서는 첫 째로 찬 음식을 즐겨 먹지 않도록 한다. 여름철에는 바깥의 더위를 이기기 위해 인체의 모든 양기가 피부로 몰려나오거나 상부로 떠서 뱃속이 허해지고 냉해진다. 따라서 겉은 뜨겁고 속은 차가와진 상태에서 찬 것을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서 구토와 설사 및 복통이 일어나고 심지어는 머리가 아프기도 한다. 옛날부터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 하여 여름철에 삼계탕이나 황구육 등을 먹는 것도 다 이러한 이유에 따른 선조들의 지혜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여름에는 성생활을 절제해야 한다. 여름철은 잎이 무성하고 뿌리는 약해지는 시기이다. 또한 하늘의 기운이 화(火)가 극성하는 때이기 때문에 우리 몸에서 수(水)에 해당하는 하초(下焦)의 기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여름에는 과도한 성생활을 자제해야 하며, 여름철에는 임신 또한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 것이다. 우리 옛 선조들이 여름철에는 결혼날짜를 잡지 않던 이유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로 기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름이라는 계절은 기를 상하는 낮이 길고 기를 재충전할 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계절이다. 따라서 평소에 기가 부족하기 쉬운 수험생이나 노인들은 이 시기에 쉽게 기를 상해 만성피로와 식욕저하와 같은 증상을 나타나게 되며 감기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떨어진 기운을 북돋우어주면 양호한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항간에는 여름에 땀으로 한약성분이 다 빠져나가기 때문에 보약을 써봐야 효과가 없다고 하나, 이런 잘못된 말을 믿고 무작정 가을이 되기를 기다리다가는 가을이 되기 전에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여름에는 여름에 쓰는 한약이 따로 있으니, 가까운 한의원이나 주치한의원에 찾아가 상담하고 진료를 받기 바란다.
장동민 하늘땅한의원 원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그 많은 병들 중에서 역시 가장 성종을 괴롭힌 질병은 서병(暑病)이라 할 수 있는데, 성종이 11세에 한명회의 집에서 얻은 서병이 매년 여름철만 되면 재발했으며, 심한 경우는 인사불성까지 갔었고 보통 두통과 감기, 설사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었다고 한다.
흔히 ‘더위 먹었다’라고 얘기하면서 가볍게 여기는 질병이 서병이다. 서병은 중한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질환이다. 예로부터 4계절 중에 여름이 가장 조섭하기 어려우니, 서병은 몸에 열이 나며, 식은땀이 흐르고 입이 마르며 얼굴에 때가 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더해 과학기계문명이 발달하면서 날 더운 여름철에 때 아니게 감기를 앓게 되는 경우가 부쩍 늘어났다.
여름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는 속담도 있지만, 사실은 의외로 주변에서 많이 앓는 질병이다. 여름철에는 땀구멍이 열려 수시로 땀을 흘리게 되어 있는데, 이 때 에어컨 등으로 부자연스럽게 기온을 낮추거나 땀구멍 조절을 잘못해주면 냉기가 몸속으로 스며들어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찬 기운에 노출되면 맑은 콧물과 재채기가 나고 머리가 아프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피부호흡을 좋게 해주거나 보음(補陰), 보기(補氣)시키면 증상이 사라진다.
이러한 서병을 막기 위해서는 첫 째로 찬 음식을 즐겨 먹지 않도록 한다. 여름철에는 바깥의 더위를 이기기 위해 인체의 모든 양기가 피부로 몰려나오거나 상부로 떠서 뱃속이 허해지고 냉해진다. 따라서 겉은 뜨겁고 속은 차가와진 상태에서 찬 것을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서 구토와 설사 및 복통이 일어나고 심지어는 머리가 아프기도 한다. 옛날부터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 하여 여름철에 삼계탕이나 황구육 등을 먹는 것도 다 이러한 이유에 따른 선조들의 지혜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여름에는 성생활을 절제해야 한다. 여름철은 잎이 무성하고 뿌리는 약해지는 시기이다. 또한 하늘의 기운이 화(火)가 극성하는 때이기 때문에 우리 몸에서 수(水)에 해당하는 하초(下焦)의 기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여름에는 과도한 성생활을 자제해야 하며, 여름철에는 임신 또한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인 것이다. 우리 옛 선조들이 여름철에는 결혼날짜를 잡지 않던 이유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로 기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름이라는 계절은 기를 상하는 낮이 길고 기를 재충전할 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계절이다. 따라서 평소에 기가 부족하기 쉬운 수험생이나 노인들은 이 시기에 쉽게 기를 상해 만성피로와 식욕저하와 같은 증상을 나타나게 되며 감기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떨어진 기운을 북돋우어주면 양호한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항간에는 여름에 땀으로 한약성분이 다 빠져나가기 때문에 보약을 써봐야 효과가 없다고 하나, 이런 잘못된 말을 믿고 무작정 가을이 되기를 기다리다가는 가을이 되기 전에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여름에는 여름에 쓰는 한약이 따로 있으니, 가까운 한의원이나 주치한의원에 찾아가 상담하고 진료를 받기 바란다.
장동민 하늘땅한의원 원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