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첫 직선 교육감 선거에서 공정택 현 교육감이 40.09%(49만9254표)를 득표해 38.31%(47만7201표)의 지지를 받은 주경복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공 당선자의 승리는 보수 성향이 강한 강남 유권자들이 표를 몰아준 덕분이다.
반면 개혁진영의 대표후보로 부각됐던 주경복 후보는 촛불정국으로 조성된 반이명박 흐름을 득표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패배했다. 국민 다수가 원하는 교원평가에 대해 부정적인 공약을 내세운 점이 개혁성향의 표를 결집시키지 못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강남 서초 송파구 높은 투표율 =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강남·서초·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권 유권자들의 표심이 30일 치러진 교육감 선거의 승패를 결정했다. 이들 지역의 투표율은 강남구가 19.1%, 서초구가 19.6%, 송파구가 16.6%였다. 이는 서울시내 전체 평균 투표율(15.4%)에 비해 크게 높은 것이다.
후보별 득표율을 보면 공 당선자는 강남구에서 61.14%를 득표해 22.62%에 그친 주 후보를 3배 이상 앞질렀다. 또 서초구에서는 59.02%를 득표해 24.32%의 주 후보와 큰 표차를 기록했다. 공 당선자는 송파구에서도 49.08%의 지지를 얻어 31.56%에 그친 주 후보를 크게 앞섰다.
공 당선자는 이들 3개구 이외에 강동구, 영등포구, 용산구, 중구, 종로구에서 주 후보를 앞질렀다.
이에 반해 주 후보는 강북, 노원, 도봉 등 서울 북동부 지역과 관악, 금천, 구로 등 남서부 지역, 마포, 은평 등 북서부 지역에서 앞섰지만 강남 3구의 몰표를 극복하지 못했다.
이번 선거는 촛불정국에 이어 치러졌다는 점에서 초반부터 교육정책보다 반이명박 정서와 반전교조 정서의 대결 구도로 진행됐다. 전교조 후보의 부상에 따라 위기감을 느낀 보수층은 결집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전교조가 지원하는 주경복 후보는 반이명박 정서를 묶어내는 데 실패했다. 특히 주 후보가 교원평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 것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 특목고, 자사고 추진 힘받아 = 한편 공 당선자가 재선에 성공함으로써 지난 4년간 추진해온 서울의 학력신장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평준화 체제를 보완하기 위해 공 당선자가 추진해온 학교선택제가 당초 예정대로 2010학년부터 도입된다.
현재는 고등학교에 진학할 때 거주지 학군에 있는 학교에 추첨으로 배정된다. 그러나 현재 중2 학생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2010학년도부터는 서울 전역의 고등학교 중 2곳을 먼저 선택한 후 추첨을 하는 ‘선지원 후추첨제’가 실시된다.
또한 공 당선자가 강조해온 특목고, 특성화고, 영재학교, 자립형 사립고 등 다양한 형태의 학교가 늘어날 전망이다.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주요 교육정책의 하나로 부각됐던 교원평가제는 당장 전격적으로 도입되기 보다는 점진적으로 시행될 전망이다.
공 당선자는 선거기간 동안 교원평가제에 찬성하지만 전교조가 강력 반발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반면 개혁진영의 대표후보로 부각됐던 주경복 후보는 촛불정국으로 조성된 반이명박 흐름을 득표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패배했다. 국민 다수가 원하는 교원평가에 대해 부정적인 공약을 내세운 점이 개혁성향의 표를 결집시키지 못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강남 서초 송파구 높은 투표율 =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강남·서초·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권 유권자들의 표심이 30일 치러진 교육감 선거의 승패를 결정했다. 이들 지역의 투표율은 강남구가 19.1%, 서초구가 19.6%, 송파구가 16.6%였다. 이는 서울시내 전체 평균 투표율(15.4%)에 비해 크게 높은 것이다.
후보별 득표율을 보면 공 당선자는 강남구에서 61.14%를 득표해 22.62%에 그친 주 후보를 3배 이상 앞질렀다. 또 서초구에서는 59.02%를 득표해 24.32%의 주 후보와 큰 표차를 기록했다. 공 당선자는 송파구에서도 49.08%의 지지를 얻어 31.56%에 그친 주 후보를 크게 앞섰다.
공 당선자는 이들 3개구 이외에 강동구, 영등포구, 용산구, 중구, 종로구에서 주 후보를 앞질렀다.
이에 반해 주 후보는 강북, 노원, 도봉 등 서울 북동부 지역과 관악, 금천, 구로 등 남서부 지역, 마포, 은평 등 북서부 지역에서 앞섰지만 강남 3구의 몰표를 극복하지 못했다.
이번 선거는 촛불정국에 이어 치러졌다는 점에서 초반부터 교육정책보다 반이명박 정서와 반전교조 정서의 대결 구도로 진행됐다. 전교조 후보의 부상에 따라 위기감을 느낀 보수층은 결집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전교조가 지원하는 주경복 후보는 반이명박 정서를 묶어내는 데 실패했다. 특히 주 후보가 교원평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 것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 특목고, 자사고 추진 힘받아 = 한편 공 당선자가 재선에 성공함으로써 지난 4년간 추진해온 서울의 학력신장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평준화 체제를 보완하기 위해 공 당선자가 추진해온 학교선택제가 당초 예정대로 2010학년부터 도입된다.
현재는 고등학교에 진학할 때 거주지 학군에 있는 학교에 추첨으로 배정된다. 그러나 현재 중2 학생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2010학년도부터는 서울 전역의 고등학교 중 2곳을 먼저 선택한 후 추첨을 하는 ‘선지원 후추첨제’가 실시된다.
또한 공 당선자가 강조해온 특목고, 특성화고, 영재학교, 자립형 사립고 등 다양한 형태의 학교가 늘어날 전망이다.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주요 교육정책의 하나로 부각됐던 교원평가제는 당장 전격적으로 도입되기 보다는 점진적으로 시행될 전망이다.
공 당선자는 선거기간 동안 교원평가제에 찬성하지만 전교조가 강력 반발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