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근현대사박물관 유치 무산 이후 반발 강도를 높이고 있지만 정작 정부에 요구할 마땅한 대안이 없어 고심하고 있다. 정부의 중복 건립 계획이 없는 한 근현대사박물관 유치는 사실상 불가능해졌고, 그에 버금가는 대안을 찾는 일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정부가 계획 중인 국립박물관 건립 계획 중 어느 것도 대전 유치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근현대사박물관 무산은 사기극” =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4일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회의에서 광화문에 현대사박물관을 짓겠다고 발표한 이후 대전시는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지난 대선 당시 대통령이 약속한 몇 안 되는 대전지역 공약 중 하나였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긍정 검토를 약속한 상태여서 충격은 더욱 컸다.
대전시는 근현대사박물관 유치 무산에 대해 어느 때보다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박성효 대전시장은 지난 7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선 공약을 근거로) 정부의 잘못된 점을 공문화해 유관부처에 문제제기를 하겠다”고 선언했다.
대전시뿐만 아니라 지역 출신 야당 국회의원들과 시민사회단체까지 가세해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11일에는 대전지역 128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대전사랑시민협의회가 기자회견을 갖고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결의했다. ‘대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사기극’ ‘지역 홀대를 넘어 완전한 무시’ 등 극한 표현도 서슴지 않고 있다.
◆도청부지 활용, 박물관이 대안 = 대전시의 실질적인 요구는 공약사항 무산에 따른 대안사업이다. 근현대사박물관이 안 되면 다른 형태의 박물관이라도 유치하겠다고 나선 것.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은 당초 대통령이 약속한 근현대사박물관 중 광화문에 짓기로 한 현대사박물관을 뺀 근대사박물관을 유치하거나 현재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국립 자연사박물관,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국립 민속박물관 유치 등이다.
대전시가 이처럼 박물관 유치에 열을 올리는 것은 무엇보다 현재의 충남도청 부지 활용방안 때문이다. 충남도는 2012년까지 현재 대전시에 있는 도청을 충남 홍성·예산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 때문에 대전시는 현 도청 건물의 활용 방안을 두고 고심해 왔다. 도청 건물이 등록문화재인 탓에 다른 용도의 활용은 쉽지 않다. 대전시가 박물관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하지만 가장 큰 고민은 충남도로부터 도청 부지를 매입할 예산이다. 시의 재정형편으로는 1000억원에 가까운 예산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국립박물관 유치에 열을 올리는 것이다.
대전시는 정부에 대한 강한 반발과 함께 다른 한 축으로 대안사업 검토에 나섰다. 근현대사박물관을 대체할 만한 대안을 찾아 정부에 요구하기 위해서다.
최근까지 문화체육관광부가 건립을 검토해온 박물관은 자연사박물관과 민속박물관, 근현대사박물관이다. 이 중 근현대사박물관은 지난 4일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 광화문 일원에 건립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논의가 일단락됐다. 당초 근현대사박물관을 지을 계획이던 문화부는 이 발표에서 빠진 근대사 부문을 천안에 있는 독립기념관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정리했다. 대전시의 근현대사박물관 유치가 완전히 무산됐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이전 요구 = 이 때문에 대전시가 대안 사업으로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은 국립 민속박물관 이전이다. 현재 민속박물관은 경복궁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경복궁 복원 계획에 의해 이전이 불가피해졌다. 하지만 서울시가 일찌감치 나서 민속박물관의 용산 이전을 요구하고 있고, 민속박물관 역시 지방 이전을 달가워하지 않고 있다.
지방에 연구·조사 기능을 가진 부속 기관을 두는 것은 모르지만 지방 이전은 검토조차 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자연사박물관도 유치가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문화부가 박물관 정책 중 최우선 순위에 두고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지자체들의 관심도 높다. 현재 경기도(화성)와 경북(문경)이 적극적인 유치 의사를 밝히고 있다.
다른 지자체들도 관심이 높다. 이미 지자체 간 유치전이 시작된 상황에서 뒤늦게 대전시가 뛰어들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특히 자연사박물관은 1994년부터 계속 추진돼 왔지만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번번이 무산된 사업이다. 현 정부도 예산 확보가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상황이 어렵게 되자 대전시가 정부와 한나라당에 정치적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부를 상대로 ‘약속 이행’을 요구하는 것 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며 “정부가 결자해지의 자세로 적극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근현대사박물관 무산은 사기극” =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4일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회의에서 광화문에 현대사박물관을 짓겠다고 발표한 이후 대전시는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지난 대선 당시 대통령이 약속한 몇 안 되는 대전지역 공약 중 하나였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긍정 검토를 약속한 상태여서 충격은 더욱 컸다.
대전시는 근현대사박물관 유치 무산에 대해 어느 때보다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박성효 대전시장은 지난 7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선 공약을 근거로) 정부의 잘못된 점을 공문화해 유관부처에 문제제기를 하겠다”고 선언했다.
대전시뿐만 아니라 지역 출신 야당 국회의원들과 시민사회단체까지 가세해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11일에는 대전지역 128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대전사랑시민협의회가 기자회견을 갖고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결의했다. ‘대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사기극’ ‘지역 홀대를 넘어 완전한 무시’ 등 극한 표현도 서슴지 않고 있다.
◆도청부지 활용, 박물관이 대안 = 대전시의 실질적인 요구는 공약사항 무산에 따른 대안사업이다. 근현대사박물관이 안 되면 다른 형태의 박물관이라도 유치하겠다고 나선 것.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은 당초 대통령이 약속한 근현대사박물관 중 광화문에 짓기로 한 현대사박물관을 뺀 근대사박물관을 유치하거나 현재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국립 자연사박물관,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국립 민속박물관 유치 등이다.
대전시가 이처럼 박물관 유치에 열을 올리는 것은 무엇보다 현재의 충남도청 부지 활용방안 때문이다. 충남도는 2012년까지 현재 대전시에 있는 도청을 충남 홍성·예산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 때문에 대전시는 현 도청 건물의 활용 방안을 두고 고심해 왔다. 도청 건물이 등록문화재인 탓에 다른 용도의 활용은 쉽지 않다. 대전시가 박물관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하지만 가장 큰 고민은 충남도로부터 도청 부지를 매입할 예산이다. 시의 재정형편으로는 1000억원에 가까운 예산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국립박물관 유치에 열을 올리는 것이다.
대전시는 정부에 대한 강한 반발과 함께 다른 한 축으로 대안사업 검토에 나섰다. 근현대사박물관을 대체할 만한 대안을 찾아 정부에 요구하기 위해서다.
최근까지 문화체육관광부가 건립을 검토해온 박물관은 자연사박물관과 민속박물관, 근현대사박물관이다. 이 중 근현대사박물관은 지난 4일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 광화문 일원에 건립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논의가 일단락됐다. 당초 근현대사박물관을 지을 계획이던 문화부는 이 발표에서 빠진 근대사 부문을 천안에 있는 독립기념관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정리했다. 대전시의 근현대사박물관 유치가 완전히 무산됐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이전 요구 = 이 때문에 대전시가 대안 사업으로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은 국립 민속박물관 이전이다. 현재 민속박물관은 경복궁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경복궁 복원 계획에 의해 이전이 불가피해졌다. 하지만 서울시가 일찌감치 나서 민속박물관의 용산 이전을 요구하고 있고, 민속박물관 역시 지방 이전을 달가워하지 않고 있다.
지방에 연구·조사 기능을 가진 부속 기관을 두는 것은 모르지만 지방 이전은 검토조차 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자연사박물관도 유치가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문화부가 박물관 정책 중 최우선 순위에 두고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지자체들의 관심도 높다. 현재 경기도(화성)와 경북(문경)이 적극적인 유치 의사를 밝히고 있다.
다른 지자체들도 관심이 높다. 이미 지자체 간 유치전이 시작된 상황에서 뒤늦게 대전시가 뛰어들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특히 자연사박물관은 1994년부터 계속 추진돼 왔지만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번번이 무산된 사업이다. 현 정부도 예산 확보가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상황이 어렵게 되자 대전시가 정부와 한나라당에 정치적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부를 상대로 ‘약속 이행’을 요구하는 것 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며 “정부가 결자해지의 자세로 적극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