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저축은행의 위험 관리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저축은행 중앙회를 중심으로 공동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찬우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7일 `저축은행 리스크관리 개선방안''이라는보고서에서 "일부 대형 업체를 제외하면 개별 저축은행은 인적, 물적 측면에서 자체적인 신용리스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업계 공동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정 연구위원은 "표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모든 저축은행의 참여를 전제로 할 필요는 없고 참여를 원하는 업체를 중심으로 중앙회가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현재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거나 고객군 및 영업 영역 등에서 다른저축은행과 이해가 충돌할 가능성이 큰 대형 저축은행은 독자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되 중요한 정보 등은 업계 차원에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신 고객에 대한 신용정보는 금융기관들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만큼 저축은행들도 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저축은행 중앙회를 개별신용정보집중기관으로 등록해 신용정보를 공유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u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정찬우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7일 `저축은행 리스크관리 개선방안''이라는보고서에서 "일부 대형 업체를 제외하면 개별 저축은행은 인적, 물적 측면에서 자체적인 신용리스크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업계 공동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정 연구위원은 "표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모든 저축은행의 참여를 전제로 할 필요는 없고 참여를 원하는 업체를 중심으로 중앙회가 추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현재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거나 고객군 및 영업 영역 등에서 다른저축은행과 이해가 충돌할 가능성이 큰 대형 저축은행은 독자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되 중요한 정보 등은 업계 차원에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신 고객에 대한 신용정보는 금융기관들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만큼 저축은행들도 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저축은행 중앙회를 개별신용정보집중기관으로 등록해 신용정보를 공유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un@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