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최대 명절, 한가위를 일주일 앞두고 고향을 그리는 이들의 마음이 부풀어 오른다. 고향을 직접 찾든 아니든 따뜻한 정이 넘치는 그곳에 대한 향수는 누구에게나 똑같다. 외국인노동자 아니서(A.K.M Ansiur Rahman)씨 역시 고향 방글라데시 모리샬에 두고 온 어머니와 누나, 동생들의 얼굴이 가슴에 사무친다.
한국의 추석처럼 방글라데시도 내달 1일 ‘에이드 울-피트르(Eid ul-Fitr)’ 축제를 맞는다. 금식을 하는 신성한 달 ‘라마단’ 기간이 끝나자마자 시작되는 사흘간의 명절엔 가족과 친지, 친구들이 모두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하지만 아니서씨는 올해에도 고향에 갈 수가 없다. 해결해야 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왼쪽 팔이 으스러진 데 대한 치료비와 그동안 받지 못한 임금을 돌려받아야 한다. 13년 동안 고향을 등지면서까지 악착을 부린 이유이자 수없이 쏟은 땀과 눈물의 산물이다. 그에겐 목숨과도 같은 돈이다. 하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지난 2006년 3월 그는 650만원의 체불임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자문을 구하러 인천 서구에 있는 한 목사를 찾아 왔다가 인생 최악의 불운을 맞았다. 출입국관리소 직원 두명이 갑자기 뒤에서 달려들었다. 불법체류 신분이었던 아니서는 있는 힘껏 도망쳤으나 작정하고 덤벼드는 이들을 피할 수 없었다.
출입국 직원들이 그의 왼손을 뒤로 돌려 체포하려는 순간 악몽이 시작됐다. 흥분한 나머지 단속원들이 그의 왼쪽 팔을 거의 으스러뜨린 것이다. 병원 진단 결과 상완골(어깨부터 팔꿈치사이 부분) 분쇄에 어깨관절 탈골, 손목 신경마비. 사고 직후 넉달 동안 네차례의 수술을 받았으나 70% 가량 영구장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한국에 들어와 죽자살자 일만 했던 10여년 기억이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지난 96년 지독한 가난에 결혼자금조차 없던 28살 노총각은 청운의 꿈을 안고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늘상 단속의 손길을 의식해야 했지만 말 그대로 ‘뼈 빠지게’ 일했다. 그 덕에 많은 것을 이뤘다. 한국에 오기 위해 브로커에게 건넸던 8000달러의 빚을 모두 갚은 일이며 두명의 누이를 결혼시키고 남동생 두명을 대학까지 졸업시킨 것은 지금 생각해도 뿌듯함 그 자체다.
하지만 아니서의 코리안 드림은 거기서 끝이었다. 왼쪽팔을 들어올리기조차 버거운 불량품 외국인노동자는 어느 회사에서도 환영받지 못했다. 불행 중 다행이랄까. 역설적이게도 왼쪽팔의 희생으로 불법체류 기간 동안의 벌금이 면제되고 신분도 합법으로 바뀌었다. 국가에서 G-1비자를 내준 것이다. 취업은 불가능한 비자이지만 예전처럼 도망치는 신세는 면할 수 있었다.
더 큰 문제는 다친 이후부터 벌어졌다. 위법한 공권력이 빚은 사고임에도 모든 책임은 아니서 개인에게 돌아갔다. 병원에 입원한지 사흘째 되던 날 출입국 직원 세명이 찾아왔다. 아니서에게 영문 서류를 그대로 베껴 쓰게 한 뒤 서명을 요구했다. ‘아니서가 단속을 피해 도망가다가 스스로 넘어져서 왼쪽 팔을 다치게 됐다’는 내용이었다. 경황이 없던 아니서는 내용을 제대로 확인도 못한 채 시키는 대로 할 수밖에 없었다. 또 다른 비극의 발단이었다. 체불임금을 돌려받기는커녕 500만원 가까이 되는 병원비도 모두 고향 식구들이 논밭을 팔고 빚을 내 채워 넣었다.
결국 지난해 1월 아니서와 그를 돕는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가 치료비 등에 대한 국가배상청구소송을 냈다. 1년 반이 훌쩍 넘었지만 아직 1심 판결도 나오지 않았다. 아니서의 자필 각서가 사건의 실체를 흐리고 있기 때문이다. 엎친데덮친 격으로 당시 상황을 잘 알고 있던 유력 증언자가 입장을 바꿔 잠적했다. 아니서가 자문을 구했던 목사였다. 아니서씨는 “출입국사무소와 평소 친분이 있기 때문에 나를 도와주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상황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 다친 그를 재워주고 먹여주던 고향 친구들도 불법체류 신분이 적발돼 하나둘씩 추방됐다. 법정 다툼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있어야 하기에 아니서는 고향 가족들에게 매달 20만~30만원씩을 신세지고 있다. 그나마 지난달부터 외국인노동자 쉼터에서 숙식을 도와줘 상황은 한결 나아졌지만 언제 끝날지 모르는 재판은 커다란 걱정거리다.
‘한국, 한국인이 싫지 않느냐’는 질문에 아니서는 순간 대답을 망설였다. 많은 것을 배우고 얻었던 나라인 만큼 만감이 교차하는 모양이었다. 그는 “다만 내 조국 방글라데시가 너무 가난하다는 사실에 한이 맺힌다”고 답을 대신했다. 대한민국은 아니서의 한을 풀어줄 수 있을 것인가.
인천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의 추석처럼 방글라데시도 내달 1일 ‘에이드 울-피트르(Eid ul-Fitr)’ 축제를 맞는다. 금식을 하는 신성한 달 ‘라마단’ 기간이 끝나자마자 시작되는 사흘간의 명절엔 가족과 친지, 친구들이 모두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하지만 아니서씨는 올해에도 고향에 갈 수가 없다. 해결해야 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왼쪽 팔이 으스러진 데 대한 치료비와 그동안 받지 못한 임금을 돌려받아야 한다. 13년 동안 고향을 등지면서까지 악착을 부린 이유이자 수없이 쏟은 땀과 눈물의 산물이다. 그에겐 목숨과도 같은 돈이다. 하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지난 2006년 3월 그는 650만원의 체불임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자문을 구하러 인천 서구에 있는 한 목사를 찾아 왔다가 인생 최악의 불운을 맞았다. 출입국관리소 직원 두명이 갑자기 뒤에서 달려들었다. 불법체류 신분이었던 아니서는 있는 힘껏 도망쳤으나 작정하고 덤벼드는 이들을 피할 수 없었다.
출입국 직원들이 그의 왼손을 뒤로 돌려 체포하려는 순간 악몽이 시작됐다. 흥분한 나머지 단속원들이 그의 왼쪽 팔을 거의 으스러뜨린 것이다. 병원 진단 결과 상완골(어깨부터 팔꿈치사이 부분) 분쇄에 어깨관절 탈골, 손목 신경마비. 사고 직후 넉달 동안 네차례의 수술을 받았으나 70% 가량 영구장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병상에 누워있는 동안 한국에 들어와 죽자살자 일만 했던 10여년 기억이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지난 96년 지독한 가난에 결혼자금조차 없던 28살 노총각은 청운의 꿈을 안고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늘상 단속의 손길을 의식해야 했지만 말 그대로 ‘뼈 빠지게’ 일했다. 그 덕에 많은 것을 이뤘다. 한국에 오기 위해 브로커에게 건넸던 8000달러의 빚을 모두 갚은 일이며 두명의 누이를 결혼시키고 남동생 두명을 대학까지 졸업시킨 것은 지금 생각해도 뿌듯함 그 자체다.
하지만 아니서의 코리안 드림은 거기서 끝이었다. 왼쪽팔을 들어올리기조차 버거운 불량품 외국인노동자는 어느 회사에서도 환영받지 못했다. 불행 중 다행이랄까. 역설적이게도 왼쪽팔의 희생으로 불법체류 기간 동안의 벌금이 면제되고 신분도 합법으로 바뀌었다. 국가에서 G-1비자를 내준 것이다. 취업은 불가능한 비자이지만 예전처럼 도망치는 신세는 면할 수 있었다.
더 큰 문제는 다친 이후부터 벌어졌다. 위법한 공권력이 빚은 사고임에도 모든 책임은 아니서 개인에게 돌아갔다. 병원에 입원한지 사흘째 되던 날 출입국 직원 세명이 찾아왔다. 아니서에게 영문 서류를 그대로 베껴 쓰게 한 뒤 서명을 요구했다. ‘아니서가 단속을 피해 도망가다가 스스로 넘어져서 왼쪽 팔을 다치게 됐다’는 내용이었다. 경황이 없던 아니서는 내용을 제대로 확인도 못한 채 시키는 대로 할 수밖에 없었다. 또 다른 비극의 발단이었다. 체불임금을 돌려받기는커녕 500만원 가까이 되는 병원비도 모두 고향 식구들이 논밭을 팔고 빚을 내 채워 넣었다.
결국 지난해 1월 아니서와 그를 돕는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가 치료비 등에 대한 국가배상청구소송을 냈다. 1년 반이 훌쩍 넘었지만 아직 1심 판결도 나오지 않았다. 아니서의 자필 각서가 사건의 실체를 흐리고 있기 때문이다. 엎친데덮친 격으로 당시 상황을 잘 알고 있던 유력 증언자가 입장을 바꿔 잠적했다. 아니서가 자문을 구했던 목사였다. 아니서씨는 “출입국사무소와 평소 친분이 있기 때문에 나를 도와주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상황은 계속 악화되고 있다. 다친 그를 재워주고 먹여주던 고향 친구들도 불법체류 신분이 적발돼 하나둘씩 추방됐다. 법정 다툼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있어야 하기에 아니서는 고향 가족들에게 매달 20만~30만원씩을 신세지고 있다. 그나마 지난달부터 외국인노동자 쉼터에서 숙식을 도와줘 상황은 한결 나아졌지만 언제 끝날지 모르는 재판은 커다란 걱정거리다.
‘한국, 한국인이 싫지 않느냐’는 질문에 아니서는 순간 대답을 망설였다. 많은 것을 배우고 얻었던 나라인 만큼 만감이 교차하는 모양이었다. 그는 “다만 내 조국 방글라데시가 너무 가난하다는 사실에 한이 맺힌다”고 답을 대신했다. 대한민국은 아니서의 한을 풀어줄 수 있을 것인가.
인천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