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경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부산-거제간 연결도로(거가대교) 건설에 대해 거제시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며 거제시의회가 범시민대책위 결성을 추진해 관심을 끌고 있다.
거제시의회(의장 김용우)는 7일 의원간담회를 열고 각계각층의 시민이 참여하는 (가칭)거가대교 범시민대책위 결성에 나서기로 의견을 모았다.
시의회는 거가대교는 거제도에 유사이래 가장 큰 변화를 몰고 올 사업이지만 지역 주민들의 의견은 철저히 배제된 채 부산시와 경남도, 민간사업자의 뜻에 따라 진행되면서 정치적 흥정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며 거제시민이 이 사업의 주체로 나설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선 것.
시민의 희망과는 무관하게 착공시기가 지연되고 있으며 교통, 환경, 기반시설 등 지역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과 이에 대한 종합적 대책마련을 위한 시민합의체의 대책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 취지다.
시민대책위의 가장 큰 과제는 민자유치사업에 따른 사업의 계속성 불투명, 정부와 광역지자체의 분담금 조기 조달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 극복을 통한 조기착공, 대규모 변화에 대비한 보완책마련, 여론을 통한 향후 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는 것.
이를 위해 거제시의회가 중심이 되고 시민단체, 경제 사회단체 등과 200명 이내의 대책위원을 공개모집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 참여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다 이같은 범시민 대책기구에 대한 자치단체 차원의 지원조례 등 법적 행정적 지원책을 마련해 빠르면 7월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거가대교는 총길이 8.2km 왕복 4차선으로, 이중 침매터널(해저터널)3.7km, 사장교 2.2km, 현수교 2.3km로 접속도로 포함 2조 636억원의 천문학적 사업비가 투자되는 사업이다.
효과측면에서는 부산-거제간 거리 80km, 통행시간 1시간 30분을 단축시켜 연간 4000억원의 물류비 절감효과와 부산 가덕 신항만, 김해 녹산 공단의 원활한 물류 수송, 서부경남 개발 촉진, 한려해상 국립공원등 남부권 관광산업 활성화를 몰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월 합의된 내용은 거가대교 사업비 1조 4343억원 중 GTM컨소시엄(GTM 31.2%, 홍콩 청콩그룹 33.3%, (주)대우 19.8%, 아시안 펀드 10% 등 5개사 지분)이 9718억원, 중앙정부가 7162억원, 부산 경남이 3756억원을 분담하기로 돼 있다.
그러나 당초 올 11월 착공예정에서 내년 2월로 착공시기가 연기되는 등 정부와 광역단체, 민간사업자간의 협상 난항으로 착공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거제원종태기자jtwon@naeil.com
거제시의회(의장 김용우)는 7일 의원간담회를 열고 각계각층의 시민이 참여하는 (가칭)거가대교 범시민대책위 결성에 나서기로 의견을 모았다.
시의회는 거가대교는 거제도에 유사이래 가장 큰 변화를 몰고 올 사업이지만 지역 주민들의 의견은 철저히 배제된 채 부산시와 경남도, 민간사업자의 뜻에 따라 진행되면서 정치적 흥정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며 거제시민이 이 사업의 주체로 나설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선 것.
시민의 희망과는 무관하게 착공시기가 지연되고 있으며 교통, 환경, 기반시설 등 지역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과 이에 대한 종합적 대책마련을 위한 시민합의체의 대책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 취지다.
시민대책위의 가장 큰 과제는 민자유치사업에 따른 사업의 계속성 불투명, 정부와 광역지자체의 분담금 조기 조달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 극복을 통한 조기착공, 대규모 변화에 대비한 보완책마련, 여론을 통한 향후 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는 것.
이를 위해 거제시의회가 중심이 되고 시민단체, 경제 사회단체 등과 200명 이내의 대책위원을 공개모집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시민의 자발적 참여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다 이같은 범시민 대책기구에 대한 자치단체 차원의 지원조례 등 법적 행정적 지원책을 마련해 빠르면 7월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거가대교는 총길이 8.2km 왕복 4차선으로, 이중 침매터널(해저터널)3.7km, 사장교 2.2km, 현수교 2.3km로 접속도로 포함 2조 636억원의 천문학적 사업비가 투자되는 사업이다.
효과측면에서는 부산-거제간 거리 80km, 통행시간 1시간 30분을 단축시켜 연간 4000억원의 물류비 절감효과와 부산 가덕 신항만, 김해 녹산 공단의 원활한 물류 수송, 서부경남 개발 촉진, 한려해상 국립공원등 남부권 관광산업 활성화를 몰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월 합의된 내용은 거가대교 사업비 1조 4343억원 중 GTM컨소시엄(GTM 31.2%, 홍콩 청콩그룹 33.3%, (주)대우 19.8%, 아시안 펀드 10% 등 5개사 지분)이 9718억원, 중앙정부가 7162억원, 부산 경남이 3756억원을 분담하기로 돼 있다.
그러나 당초 올 11월 착공예정에서 내년 2월로 착공시기가 연기되는 등 정부와 광역단체, 민간사업자간의 협상 난항으로 착공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거제원종태기자jtwo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