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 집을 소유한 만 60세 이상 노년층 가구의 평균 자산 규모는 2억6천만 원이며 월 평균 소득액은 159만 원으로 나타났다.
주택금융공사는 21일 전국의 만 60∼84세 노년층 가운데 집을 보유한 1천5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밝혔다.
노년층 가구의 월 평균 지출액은 122만 원이며 소득의 80%를 경조사비를 포함한생활비로 지출하고 그 다음으로 의료비 등으로 사용했다. 희망 소득은 현 소득보다 47만 원 많은 206만 원으로 조사돼 현재 소득이 다소 부족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후대비 수단은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각종 연금, 금융자산, 자녀 원조 등의 순이었다.노후 고충사항으로 병환 등 건강문제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경제적인 궁핍, 자녀에 대한 걱정(취업, 결혼 등), 외로움(은퇴 후 상실감, 사교문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운데 현재의 노후생활이 행복하다고 답한 비율은 40% 미만이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행복하다는 비율이 낮아지고 노후 대비가 충분할수록 행복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또 응답자의 17%는 주택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금융공사는 이 수치를 토대로 주택연금 잠재수요를 산출하면 2022년에는 가입자 수가 1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주택금융공사는 21일 전국의 만 60∼84세 노년층 가운데 집을 보유한 1천5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밝혔다.
노년층 가구의 월 평균 지출액은 122만 원이며 소득의 80%를 경조사비를 포함한생활비로 지출하고 그 다음으로 의료비 등으로 사용했다. 희망 소득은 현 소득보다 47만 원 많은 206만 원으로 조사돼 현재 소득이 다소 부족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후대비 수단은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각종 연금, 금융자산, 자녀 원조 등의 순이었다.노후 고충사항으로 병환 등 건강문제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경제적인 궁핍, 자녀에 대한 걱정(취업, 결혼 등), 외로움(은퇴 후 상실감, 사교문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운데 현재의 노후생활이 행복하다고 답한 비율은 40% 미만이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행복하다는 비율이 낮아지고 노후 대비가 충분할수록 행복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또 응답자의 17%는 주택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금융공사는 이 수치를 토대로 주택연금 잠재수요를 산출하면 2022년에는 가입자 수가 1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