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판교지역 개발해야
성남시가 판교지역 택지개발 반대입장을 밝힌 경기도의 발표에 대해 즉각 반기를 들고나섰다.
또 올해 말 만료되는 이 지역 건축허가 제한조치도 더 이상 연장할 수 없다며 시 주도의 즉각적인 개발을 요구했다. 시는 16일 판교지역을 택지개발이 아닌 벤처단지 중심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도의 입장에 대해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개발방식이라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김인규 도시주택국장은 이날 "개발예정지구 280만평 전역을 벤처단지로 조성한다는 것은 분양가 등에서 경쟁력이 없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택지개발에 따른 보전수익으로 저가의 용지를 벤처기업에 공급하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시는 또 "장기간 토지이용 규제에 따른 주민들의 반발이 극에 달해 있어 지난 98년 3월 발효된 건축제한 조치의 연장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이대로 라면 올 연말 건축제한을 해제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주가관리 나서
현대차 그룹이 본격적인 주가관리에 나섰다.
현대자동차는 16일 이사회를 통해 자사주 소각 규정을 정관에 신설하기로 하고 12월2일 계동사옥에서 임시주총을 소집, 이를 상정키로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날 "지난 3월 정몽구 회장 주재의 IR위원회에서 결정된대로 `주주에게 배당할 수 있는 이익의 범위 내에서 자사주를 소각할 수 있다'는 규정을 정관에 추가키로 했다"면서 "향후 소각 주식의 종류와 수량, 방법 등 구체적인 사항은 이사회 결의로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토공, 택지개발 이익 챙겨
한국토지공사가 경기도 용인시 죽전택지개발사업 예정지구에서 택지개발을 이유로 토지를 헐값에 수용한 뒤 고가로 건설업체에 되팔아 막대한 매매차익을 챙겼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건교위 소속 한나라당 백승홍(白承弘) 의원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토공이 죽전지구 토지 44만6천여평을 평당 60만6천400원, 총 2천707억여원에 매입한 뒤, 이 중 24만여평을 현대산업개발 등 21개 건설업체에 평당 336만8천원, 총 8천328억여원에 되팔아, 불과 한달 사이에 5.5배, 총 6천828억원의 엄청난 매매차익 폭리를 취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건설업체에 매각한 토지 중 11만4천평은 토공이 매입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지 소유주도 모르게 팔았다"면서 "죽전지구내 보상대상 면적(75만5천여평)을 평당 60만6천여원에 매입, 336만8천원에 되팔 경우 총 매입대금은 4천642억원, 총매각대금은 2조5천449억원으로, 2조806억원의 차익을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토지공사측은 "이는 토지를 매입한 뒤 매각시까지 투입되는 주택용지조성비용과 택지개발예정지의 40-50%를 차지하는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비용 등을 전혀 무시한 단순한 덧셈.뺄셈"이라며 폭리주장을 일축했다.
성남시가 판교지역 택지개발 반대입장을 밝힌 경기도의 발표에 대해 즉각 반기를 들고나섰다.
또 올해 말 만료되는 이 지역 건축허가 제한조치도 더 이상 연장할 수 없다며 시 주도의 즉각적인 개발을 요구했다. 시는 16일 판교지역을 택지개발이 아닌 벤처단지 중심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도의 입장에 대해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개발방식이라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김인규 도시주택국장은 이날 "개발예정지구 280만평 전역을 벤처단지로 조성한다는 것은 분양가 등에서 경쟁력이 없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택지개발에 따른 보전수익으로 저가의 용지를 벤처기업에 공급하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시는 또 "장기간 토지이용 규제에 따른 주민들의 반발이 극에 달해 있어 지난 98년 3월 발효된 건축제한 조치의 연장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이대로 라면 올 연말 건축제한을 해제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주가관리 나서
현대차 그룹이 본격적인 주가관리에 나섰다.
현대자동차는 16일 이사회를 통해 자사주 소각 규정을 정관에 신설하기로 하고 12월2일 계동사옥에서 임시주총을 소집, 이를 상정키로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날 "지난 3월 정몽구 회장 주재의 IR위원회에서 결정된대로 `주주에게 배당할 수 있는 이익의 범위 내에서 자사주를 소각할 수 있다'는 규정을 정관에 추가키로 했다"면서 "향후 소각 주식의 종류와 수량, 방법 등 구체적인 사항은 이사회 결의로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토공, 택지개발 이익 챙겨
한국토지공사가 경기도 용인시 죽전택지개발사업 예정지구에서 택지개발을 이유로 토지를 헐값에 수용한 뒤 고가로 건설업체에 되팔아 막대한 매매차익을 챙겼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건교위 소속 한나라당 백승홍(白承弘) 의원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토공이 죽전지구 토지 44만6천여평을 평당 60만6천400원, 총 2천707억여원에 매입한 뒤, 이 중 24만여평을 현대산업개발 등 21개 건설업체에 평당 336만8천원, 총 8천328억여원에 되팔아, 불과 한달 사이에 5.5배, 총 6천828억원의 엄청난 매매차익 폭리를 취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건설업체에 매각한 토지 중 11만4천평은 토공이 매입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토지 소유주도 모르게 팔았다"면서 "죽전지구내 보상대상 면적(75만5천여평)을 평당 60만6천여원에 매입, 336만8천원에 되팔 경우 총 매입대금은 4천642억원, 총매각대금은 2조5천449억원으로, 2조806억원의 차익을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토지공사측은 "이는 토지를 매입한 뒤 매각시까지 투입되는 주택용지조성비용과 택지개발예정지의 40-50%를 차지하는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비용 등을 전혀 무시한 단순한 덧셈.뺄셈"이라며 폭리주장을 일축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