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준기 윤주식 기자
경기도 용인 대지산이 지역주민과 시민단체의 1년여 싸움 끝에 녹지지역으로 영구 보존키로 결정됨에 따라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에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모금이나 기부, 증여를 통해 자연자원 및 문화유산을 지키자는 이 운동이 이번 대지산 보존 투쟁을 통해 톡톡히 효과를 보았기 때문이다.
◇대지산 보존 운동= 대지산 인근 주민들은 98년 10월 정부가 용인 죽전지구 108만평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하자 대지산 일대 보유토지 31만㎡를 그린벨트로 지정해줄 것을 청원했다. 해발 200m인 대지산은 평소 분당·용인 인근 주민들이 등산로나 산책로로 애용해온 야산으로 이곳마저 택지개발로 훼손되면 용인 서북부지역의 마지막 남은 녹지대가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었다.
이에따라 환경정의시민연대는 지난해 8월 용인, 분당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지산 땅 한평 사기 운동을 전개, 두 달만에 땅 100평을 매입했다. 그러나 토지공사는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구입한 100평에 대해 토지 소유주들에게 보상금 지급을 통보하는 등 강제수용 절차에 들어갔다. 이에 시민연대측은 지난달 29일부터 대지산 나무 위에 천막을 치고 단식농성에 돌입, 마침내 10일 정부의 영구보존 방침을 이끌어냈다.
시민연대 오성규 정책실장은 “대지산 보존운동은 정부의 개발 정책에 맞서 환경훼손을 막아낸 획기적 사건”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 운동인 내셔널트러스트운동이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운동 현황= 대지산 투쟁에 앞서 이미 국내에서는 90년대 중반부터 광주 무등산 공유화운동, 태백산 변전소 땅 한평 사기 운동 등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이 진행된 바 있다. 보존가치가 높은 자연자원을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확보한 후 영구 보전하고 관리하자는 것이다.
내셔널트러스트는 국내에선 다소 생소하지만 외국에선 이미 널리 알려진 시민환경운동. 영국의 경우 전체 토지의 1.5%, 해안지역의 17%가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기증이나 모금을 통해 영구보존지역으로 지정됐다. 이 운동의 회원만 250만명, 연간 예산은 3000억원이 넘는다고 한국 내셔널트러스트운동측은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내셔널트러스트 운동’ 대상 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모두 10곳. ▲충남 태안 천리포수목원 ▲광주 무등산 ▲강화도 매화마름 군락지 ▲서울 강동구 둔춘동 습지 ▲제주도 선홀곶 ▲경기 시흥 소래 갯벌 ▲충남 태안 신두리사구 ▲강화도 남단 갯벌 ▲강원도 동강 문희마을 ▲전남 해남 당두리 등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정부와 지역주민간에 개발과 보존 논란을 일으키는가 하면 체계적인 관리나 보존대책이 없어 항상 훼손의 위험에 노출돼있다. 실제로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등 희귀조류를 포함, 연간 30만마리 이상의 철새가 모여드는 전남 해남 당두리가 대표적 케이스.세계적 조류 월동지로 부상한 당두리 일대의 간척지 250만㎢가 개답공사를 완료하게 되면 철새들의 주요 월동지인 습지 서식 환경이 파괴돼 지역주민과 관계당국 사이에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운동 한 관계자는 “국내 대상 지역 모두가 개발이냐 보존이냐를 놓고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부딪히는 사례가 많다”며 “그러나 주민들의 참여만이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는 근본적 힘”이라고 강조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