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수 전 법무부장관이 전격 사퇴한데 이어 오장섭 건설교통부 장관의 도덕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오 장관은 금융권의 압류조치를 피하기 위해 지난 97년 11월∼98년 6월 사이에 자신 소유
및 부친으로부터 상속받을 아파트와 일부 부동산을 친인척에게 편법매각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또 공직자 재산변동 내역과 실제 거래 사이에 차이가 나는 등 도덕성 시비를 낳고 있다.
이러한 오 장관의 자질시비는 지난 3.26 개각 때 장관직에 등용되면서부터 예견됐던 것.
오 장관은 자민련 현역의원으로 장관직에 올랐다. ‘건설업체 사장출신의 첫 건설교통
부 장관’이 과연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
됐다.
4월 임시국회에서 한나라당 윤한도 의원은 오 장관이 국회 건설교통위원으로 활동한 지난 3
년간 그가 실질적인 소유자로 알려진 대산건설이 충청권 관급공사를 싹쓸이 했다며, 그보다
더 막강한 권한을 지닌 장관을 맡아 공정한 업무를 수행할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의혹이 불거진 23일 오 장관은 급히 기자간담회를 갖는 등 해명에 나섰다. 오 장관은 “보궐선거 때
진 신세를 갚기 위해 아파트를 매제에게 준 것”이라며 “부도를
전혀 예측하지 못한 만큼 압류회피는 아니다”고 말했다. 재산신고에 대해서도“실무자들이
해 나는 잘 몰랐다”고 말했다.
오 장관의 해명은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 선거 때 얼마나 신세를 졌으면 2억7000만
원이나 하는 40평 아파트를 매제에게 넘겼는지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또 오래동안
건설회사를 경영해 온 오 장관이 부도 한 달 전에 ‘부도를 전연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안 전 법무부장관이 취임 이틀만에 낙마한 원인은 ‘충성문건’을 작성했다는 사실보다 이
를 은폐하기 위해 ‘거짓말’을 했다는 데 있다. 오 장관 역시 자신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
에 대해 좀 더 솔직한 답변이 필요하다는 게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올랐다.
오 장관은 금융권의 압류조치를 피하기 위해 지난 97년 11월∼98년 6월 사이에 자신 소유
및 부친으로부터 상속받을 아파트와 일부 부동산을 친인척에게 편법매각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또 공직자 재산변동 내역과 실제 거래 사이에 차이가 나는 등 도덕성 시비를 낳고 있다.
이러한 오 장관의 자질시비는 지난 3.26 개각 때 장관직에 등용되면서부터 예견됐던 것.
오 장관은 자민련 현역의원으로 장관직에 올랐다. ‘건설업체 사장출신의 첫 건설교통
부 장관’이 과연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
됐다.
4월 임시국회에서 한나라당 윤한도 의원은 오 장관이 국회 건설교통위원으로 활동한 지난 3
년간 그가 실질적인 소유자로 알려진 대산건설이 충청권 관급공사를 싹쓸이 했다며, 그보다
더 막강한 권한을 지닌 장관을 맡아 공정한 업무를 수행할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의혹이 불거진 23일 오 장관은 급히 기자간담회를 갖는 등 해명에 나섰다. 오 장관은 “보궐선거 때
진 신세를 갚기 위해 아파트를 매제에게 준 것”이라며 “부도를
전혀 예측하지 못한 만큼 압류회피는 아니다”고 말했다. 재산신고에 대해서도“실무자들이
해 나는 잘 몰랐다”고 말했다.
오 장관의 해명은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 선거 때 얼마나 신세를 졌으면 2억7000만
원이나 하는 40평 아파트를 매제에게 넘겼는지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또 오래동안
건설회사를 경영해 온 오 장관이 부도 한 달 전에 ‘부도를 전연 예측하지 못했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안 전 법무부장관이 취임 이틀만에 낙마한 원인은 ‘충성문건’을 작성했다는 사실보다 이
를 은폐하기 위해 ‘거짓말’을 했다는 데 있다. 오 장관 역시 자신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
에 대해 좀 더 솔직한 답변이 필요하다는 게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