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수원 성남 고양 등 10개 도시의 대기 중 다이옥신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농도가 전년보다 평균 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원이 올해 2월과 5월, 8월 등 3회에 걸쳐 도내 10개 지역 대기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기 1㎥당 조사지역의 다이옥신 평균 농도가 0.141pg-TEQ(pg:1조 분지 1그램)로 지난해 같은 기간 0.210pg-TEQ보다 33% 감소했다.
용도지역별 평균농도는 수원 신풍동 등 주거지역 4곳은 공기 1㎥당 0.082pg-TEQ, 성남 수내동 등 상가지역 3곳은 0.086pg-TEQ, 안산 원시동 등 산업단지 2곳은 0.357pg-TEQ, 공장지역인 부천 신흥동은 0.113pg-TEQ로 각각 조사됐다.
이는 국내 대기환경 기준치인 공기 1m3당 0.6pg-TEQ 보다 낮은 수치다.
연구원은 “지속적으로 농도가 감소하는 원인은 소각시설에 대한 규제강화와 중소형 소각시설의 감소에 따른 것”이라며 “올해 안에 추가로 한 차례 더 조사를 실시한 후 종합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연구원이 올해 2월과 5월, 8월 등 3회에 걸쳐 도내 10개 지역 대기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기 1㎥당 조사지역의 다이옥신 평균 농도가 0.141pg-TEQ(pg:1조 분지 1그램)로 지난해 같은 기간 0.210pg-TEQ보다 33% 감소했다.
용도지역별 평균농도는 수원 신풍동 등 주거지역 4곳은 공기 1㎥당 0.082pg-TEQ, 성남 수내동 등 상가지역 3곳은 0.086pg-TEQ, 안산 원시동 등 산업단지 2곳은 0.357pg-TEQ, 공장지역인 부천 신흥동은 0.113pg-TEQ로 각각 조사됐다.
이는 국내 대기환경 기준치인 공기 1m3당 0.6pg-TEQ 보다 낮은 수치다.
연구원은 “지속적으로 농도가 감소하는 원인은 소각시설에 대한 규제강화와 중소형 소각시설의 감소에 따른 것”이라며 “올해 안에 추가로 한 차례 더 조사를 실시한 후 종합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