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은 돌지 않고
기업 셋 중 하나, 이익 내고도 현금수입은 적자국내기업 세곳 중 하나는 영업이익을 내면서도 현금수입은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자금이 제대로 돌지 않으면서 기업들의 흑자도산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최근 시중자금 흐름의 특징과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올 1~9월중 코스피 12월 결산법인 629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손익계산서상 영업이익을 내고도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를 기록한 기업이 전체 34.8%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 때 23.1%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이처럼 현금흐름이 크게 악화된 것은 최근 경기하강에 따른 수요둔화로 재고가 늘거나 실제로 물건은 팔렸더라도 자금시장 경색으로 인해 외상판매가 늘고 자금회수가 잘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매출액으로 나눈 ‘영업활동 현금흐름 비율’은 2004년 12.6%를 정점으로 계속 하락해 올 들어서는 1.6%까지 떨어졌다.
이는 외환위기 때의 5.8%보다도 낮은 것으로 최근 기업의 현금흐름이 악화됐음을 보여준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돈의 시중흐름을 보여주는 통화유통속도 역시 점점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 국내총생산(GDP)를 광의통화(M2)로 나눈 ‘통화유통속도’는 올 2분기 0.720, 3분기 0.703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0.763과 0.752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대한상의는 “이처럼 시중 자금사정 악화가 실물경제로 이어질 경우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기업 수익성이 악화되는 것은 물론 영업이익을 내고도 파산하는 ‘흑자도산’ 업체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경영계획은 안잡히고
100대 건설사중 25개만 내년 분양계획 수립
금융위기가 실물로 전이되면서 기업들이 내년 경영계획조차 수립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SK, 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들은 경기 불확정성과 환율 등으로 인해 새해 경영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삼성그룹은 이달 중순 올해 실적 예상치가 나와야 경영계획을 확정지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환율을 어떻게 전망하느냐가 주요 변수다.
SK그룹도 목표를 확정짓지 않고 계열사별로 상황별로 적절한 대응전략을 펼치는 방식으로 경영계획 수립방식을 바꿨다.
건설사들도 ‘갈팡질팡’이긴 마찬가지다. 예년 같으면 11월쯤 분양계획을 확정하고 홈페이지와 각종 매체를 통해 공개했지만 현재까지 분양계획을 공개한 업체는 100대 건설사 중 25개에 불과하다.
10대 건설사 중에서도 삼성물산,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등 4개사뿐이다.
올해 실적이 당초 분양 예정물량의 60%에 미치지 못하는 만큼 내년 계획을 잡는 것 자체가 ‘의미 없다’는 것이 업체들 판단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업체들의 최대 관심사는 분양이 아니라 생존”이라며 “자금조달 자체도 쉽지 않아 신규물량 공급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체불임금은 늘어나고
10월까지 돈 못받은 노동자 19만명, 26% 증가월급을 받지 못한 노동자들이 지난 10월까지 19만2000명에 이르러 전년대비 2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17면
노동부가 3일 발표한 조사자료에 따르면 10월말 현재 체불임금 액수는 725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늘었다. 10월에 새로 발생한 체불임금 근로자수는 2만2192명으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33%나 급증했다. 또 10월 한달 체불금액도 836억4800만원이나 돼 전년동기 대비 24.9% 늘었다.
노동부는 최근 경제위기에 따른 기업경영 악화로 구조조정 사업장 등 체불위험이 높은 사업장이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대책을 마련중이다.
특히 도산사업장 근로자 체당금 수요가 내년에 늘어날 것을 대비해 국회 심의과정에서 증액을 추진중이다.
또한 노동부는 재직근로자 체불생계비 대부제도를 활용하도록 권하고 있다. 지난 9월 대부한도는 50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상향조정했고, 지원요건도 기존 체불기간 2개월에서 1개월로 줄인 상태다.
노동부 관계자는 “내년에는 체불임금이 더 늘어날 수 있다”며 “생계곤란을 겪는 노동자들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