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개 시내 하천 테마형 생활하천으로
한강까지 산책로·자전거도로 연결
서울시내 54개 하천이 2020년까지 테마형 생활하천으로 옷을 갈아입는다.
서울시는 모든 실개천과 하천을 자연하천으로 정비하는 ‘서울하천마스터플랜’을 수립, 규모가 큰 5개 하천(한강 탄천 중랑천 안양천 홍제천)을 제외한 나머지 54개 하천을 정비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2015년까지 중기 계획으로 실개천 및 하천의 구조 변경사업과 복개하천 복원, 건천 제로화 사업을 추진한 뒤 2020년까지 뉴타운 등 주변지역과 연계한 장기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현재 59개 하천 중 물이 흐르는 하천은 한강 중랑천 등 26개,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은 도림천 당현천 등 16개, 또 대부분 복개된 곳은 사당천 면목천 등 17개다.
지역별로는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에서 발원하는 동북권역 하천 21개 △북한산에서 발원하는 서북권역 하천 11개 △관악산 검단산에서 발원하는 동남권역 하천은 15개 △관악산에서 발원하는 서남권역 하천 7개다.
자치구와 서울시는 건천 제로화 사업을 통해 올해 홍제·불광천 물길을 확보했다. 2009년에는 도림·당현·우이·고덕천, 2010년에는 묵동·도봉·성북천, 2012년까지 세곡·여의·망월·대동·방학·우면·형촌천 물길을 회복할 계획이다.
시는 하천 계통의 연속성과 자연생태성, 가치성을 높이기 위해 계곡에서 소하천과 한강까지 물길과 산책로, 자전거도로를 연결한다.
또 홍수에 안전한 하천을 만들기 위해 하천의 통수능력을 확보하고 유수 소통에 지장을 주는 당현천 새싹교 등 교량은 철거 또는 개량해 지역의 상징물로 조성한다.
당현천 등 16개 하천의 건천 제로화를 위해 단계별 물 확보 방안을 수립하고, 성북·정릉천 등 기존 복개하천을 완전복원한다.
여건상 복원이 불가능한 녹번·흥덕천은 기존 복개구조물의 충분한 통수 기능을 지하에 유지하고, 상부에는 차도를 축소해 산책로를 겸비한 자연형 실개천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뉴타운과 재개발 등의 지역개발과 연계, 고덕·당현·세곡천 등은 개천의 안마당화를 이뤄 단지 내 물길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지역 문화거점이 되는 지역 커뮤니티의 장으로 활용한다. 특히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여성, 노인, 장애인들이 쉽게 하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문승국 서울시 물관리국장은 “2020년이면 하천이 생활 곳곳에 흐르는 수변도시 서울이 될 것”이라며 “도시의 자연생태성과 매력이 높아져 지역가치와 경제활동 상승효과도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강까지 산책로·자전거도로 연결
서울시내 54개 하천이 2020년까지 테마형 생활하천으로 옷을 갈아입는다.
서울시는 모든 실개천과 하천을 자연하천으로 정비하는 ‘서울하천마스터플랜’을 수립, 규모가 큰 5개 하천(한강 탄천 중랑천 안양천 홍제천)을 제외한 나머지 54개 하천을 정비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2015년까지 중기 계획으로 실개천 및 하천의 구조 변경사업과 복개하천 복원, 건천 제로화 사업을 추진한 뒤 2020년까지 뉴타운 등 주변지역과 연계한 장기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현재 59개 하천 중 물이 흐르는 하천은 한강 중랑천 등 26개, 물이 흐르지 않는 건천은 도림천 당현천 등 16개, 또 대부분 복개된 곳은 사당천 면목천 등 17개다.
지역별로는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에서 발원하는 동북권역 하천 21개 △북한산에서 발원하는 서북권역 하천 11개 △관악산 검단산에서 발원하는 동남권역 하천은 15개 △관악산에서 발원하는 서남권역 하천 7개다.
자치구와 서울시는 건천 제로화 사업을 통해 올해 홍제·불광천 물길을 확보했다. 2009년에는 도림·당현·우이·고덕천, 2010년에는 묵동·도봉·성북천, 2012년까지 세곡·여의·망월·대동·방학·우면·형촌천 물길을 회복할 계획이다.
시는 하천 계통의 연속성과 자연생태성, 가치성을 높이기 위해 계곡에서 소하천과 한강까지 물길과 산책로, 자전거도로를 연결한다.
또 홍수에 안전한 하천을 만들기 위해 하천의 통수능력을 확보하고 유수 소통에 지장을 주는 당현천 새싹교 등 교량은 철거 또는 개량해 지역의 상징물로 조성한다.
당현천 등 16개 하천의 건천 제로화를 위해 단계별 물 확보 방안을 수립하고, 성북·정릉천 등 기존 복개하천을 완전복원한다.
여건상 복원이 불가능한 녹번·흥덕천은 기존 복개구조물의 충분한 통수 기능을 지하에 유지하고, 상부에는 차도를 축소해 산책로를 겸비한 자연형 실개천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뉴타운과 재개발 등의 지역개발과 연계, 고덕·당현·세곡천 등은 개천의 안마당화를 이뤄 단지 내 물길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지역 문화거점이 되는 지역 커뮤니티의 장으로 활용한다. 특히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여성, 노인, 장애인들이 쉽게 하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문승국 서울시 물관리국장은 “2020년이면 하천이 생활 곳곳에 흐르는 수변도시 서울이 될 것”이라며 “도시의 자연생태성과 매력이 높아져 지역가치와 경제활동 상승효과도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