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200개 부실 대기업을 상대로 퇴출여부를 판정하는 작업이 진행중이지만 주택, 신한 등 이른바 4개 우량 은행들이 주채권 은행을 맡고 있는 대기업은 한 곳도 없어 대기업 부실판단은 ‘부실은행’들만의 잔치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은 최근 신용위험 판정대상 200개 기업의 명단을 작성, 금융감독원에 보낸 뒤 은행별로 판정에 필요한 구체화 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주택은행 등 우량은행은 주채권 은행으로 참여하지 않는 대신 부거래은행으로 참여해 채권액만큼 의결권을 행사할 계획이다.
주택은행은 60대 계열기업 가운데 거래기업이 60개 가량 있고 이들의 채권규모가 2조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 하나 한미 등 4개 우량은행이 주채권 은행으로서 판정을 직접 관장해야 할 기업들은 한 곳도 없다. 국민은행의 경우도 주채권을 맡은 기업이 있지만 최근 관심이 집중되는 기업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번 대기업 부실판정은 기업금융 비중이 높은 한빛 외환 조흥 서울 등 비우량 은행들이 주로 담당하게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량과 비우량은행간의 퇴출 판정에 대한 입장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량은행이 자금 회수할 움직을 보이고 있는 반면 비우량 금융기관은 법정관리 등을 피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유는 우량은행은 대손 충당금을 충분히 쌓을 여력이 있지만 비우량 금융기관은 충당금을 쌓을 여력이 없다는 게 이유이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은 최근 신용위험 판정대상 200개 기업의 명단을 작성, 금융감독원에 보낸 뒤 은행별로 판정에 필요한 구체화 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주택은행 등 우량은행은 주채권 은행으로 참여하지 않는 대신 부거래은행으로 참여해 채권액만큼 의결권을 행사할 계획이다.
주택은행은 60대 계열기업 가운데 거래기업이 60개 가량 있고 이들의 채권규모가 2조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 하나 한미 등 4개 우량은행이 주채권 은행으로서 판정을 직접 관장해야 할 기업들은 한 곳도 없다. 국민은행의 경우도 주채권을 맡은 기업이 있지만 최근 관심이 집중되는 기업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번 대기업 부실판정은 기업금융 비중이 높은 한빛 외환 조흥 서울 등 비우량 은행들이 주로 담당하게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량과 비우량은행간의 퇴출 판정에 대한 입장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량은행이 자금 회수할 움직을 보이고 있는 반면 비우량 금융기관은 법정관리 등을 피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유는 우량은행은 대손 충당금을 충분히 쌓을 여력이 있지만 비우량 금융기관은 충당금을 쌓을 여력이 없다는 게 이유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