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0일 일본정부와 집권 자민당이 기존의 유엔평화유지활동 협력법안을 수정하는 법안을 작성한 것에 대해 "일본당국의 해외파병 야망이 수습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조선중앙방송은 이날 시사논평에서 이 수정법안이 △분쟁 당사자들의 동의 없이도 자위대 무력을 해당 지역에 파견, 유엔평화유지활동을 할 수 있게 하자는 것 △자위대원들의 무기사용범위를 확대하자는 것으로 요약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이것은 일본 당국이 지금까지 지켜오던 유엔평화유지활동과 관련해서 지켜오던 입장에서 훨씬 멀리 나아가서 매우 위험한 군사행동을 하려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방송은 이 수정법안이 완전히 채택되면 일본은 자위대 무력을 무제한 해외에 파견할 수 있고 무기사용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된다고 말하고 일본 정부와 자민당은 이 수정법안을 근거로 가장 먼저 자위대 무력을 동티모르에 파견할 것이고 이를 토대로 "각종 군사전략적 자원이 풍부한 동남아시아를 장악하기 위해 앞뒤를 가리지 않고 덤벼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방송은 일본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일본이 주도하는 식민지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광대한 지역에 세우려는 것" 이라고 지적한 뒤 " 아시아 나라 인민들은 일본의 해외침략정책에 더욱 각성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의 조선중앙방송은 이날 시사논평에서 이 수정법안이 △분쟁 당사자들의 동의 없이도 자위대 무력을 해당 지역에 파견, 유엔평화유지활동을 할 수 있게 하자는 것 △자위대원들의 무기사용범위를 확대하자는 것으로 요약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이것은 일본 당국이 지금까지 지켜오던 유엔평화유지활동과 관련해서 지켜오던 입장에서 훨씬 멀리 나아가서 매우 위험한 군사행동을 하려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방송은 이 수정법안이 완전히 채택되면 일본은 자위대 무력을 무제한 해외에 파견할 수 있고 무기사용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된다고 말하고 일본 정부와 자민당은 이 수정법안을 근거로 가장 먼저 자위대 무력을 동티모르에 파견할 것이고 이를 토대로 "각종 군사전략적 자원이 풍부한 동남아시아를 장악하기 위해 앞뒤를 가리지 않고 덤벼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방송은 일본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일본이 주도하는 식민지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광대한 지역에 세우려는 것" 이라고 지적한 뒤 " 아시아 나라 인민들은 일본의 해외침략정책에 더욱 각성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