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온이 상승하면서 자동차의 여름나기를 준비하는 운전자들이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름나기를 준비하는 자가운전자들이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냉각수와 에어컨을 지목하고 있다.
◇냉각수=냉각수는 여름철에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한다. 지열이 높은데다 에어컨을 자주 켜 냉각수가 부족하면 곧바로 오버히트가 돼 엔진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냉각수는 여름철엔 자연 증발되는 양이 있어 수시로 체크해야 한다. 점검방법은 엔진이 냉각됐을 때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수돗물을 보충하는데 많이 부족하면 부동액을 물과 50대 50으로 희석시켜 넣어주는 것이 좋다. 냉각수의 점검은 냉각수가 MAX와 MIN의 사이에 있으면 정상이다. 그리고 라디에이터의 캡을 열어 냉각수가 적정하게 있는지 점검한다. 모자란 경우는 냉각수를 보충하고 라디에이터 호스, 체결부위 등에서 새는 곳이 없는지도 꼼꼼히 점검한다.
◇에어컨=오랫동안 쓰지 않던 에어컨을 다시 사용하기 전엔 우선 에어컨 냉매제가 제대로 차 있는지를 살펴본다. 에어컨을 켰을 때 싸늘한 바람이 계속해서 나오지 않으면 냉매제가 부족한 것이다. 사고로 수리를 한 경우엔 냉매제가 부족할 가능성이 크다.
냉매제는 원래의 냉매제와 같은 종류로 채우도록 신경 쓰는 것이 좋다. 또 냉매제가 새나갔을 경우, 새나간 파이프 연결 부분을 찾아 수리해야 한다.
에어컨을 켤 때 냄새가 심하게 나는 것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물을 내보내는 배출구가 막혀 그곳에 쌓인 찌꺼기 등이 썩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배출구를 뚫어 주고 심하면 청소까지 해야한다. 에어컨은 엔진이 어느 정도 워밍업 된 다음에 작동시켜야 무리가 없으며 또 시동을 끄기 전에 미리 에어컨을 꺼야 배터리에 많은 전기가 충전된다.
◇와이퍼=비가 자주 내리는 여름철에 윈도 와이퍼 점검은 필수적이다.
와이퍼 고무는 얇은 고무날로 만들어져 쉽게 손상된다. 고무 날끝이 수직상태에서 많이 벗어나면 새것으로 교환한다. 와이퍼를 작동했는데 물이 나오지 않으면 원인은 세 가지다. 모터는 움직이는데 물이 나오지 않으면 워셔액이 없거나 보네트 위에 달린 노즐 구멍이 막힌 것이다. 워셔액을 보충하고 가는 철사나 바늘로 막힌 구멍을 뚫으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물줄기는 앞 유리창 아래쪽에서 3분의 1지점에 떨어지도록 노즐에 핀이 꽂아 분사각도를 조절한다. 모터 회전소리조차 들리지 않거나 와이퍼가 작동하지 않으면 와이퍼 퓨즈(실내 퓨즈박스)나 릴레이가 끊어진 것이다. 워셔액도 수시로 확인해 충분하게 보충해 줘야 한다.
◇배터리=차가 빠른 속도로 주행하면 발전기가 전기를 충분히 충전해 줘 문제가 없으나 거북이 걸음일 때는 발전기의 회전이 느려져 배터리에 비축된 전기가 점점 소모된다. 특히 와이퍼, 애어컨 카세트 등은 많은 전기를 소모한다. 비오는 날 차량이 밀릴 때는 꼭 필요한 전장품만 사용하고 다른 것들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요즘 나오는 배터리는 자체에 배터리상태 점검창이 부착되어 있어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녹색이면 정상작동이라고 보면 된다.
간혹 미등이나 기타 전기기구를 작동시키고 시동을 끄는 경우 배터리가 방전을 일으켜 시동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다른 자동차에 양해를 구해 점프를 해 주행을 하면 다시 충전이 된다. 점프방법은 정상적인 차는 시동을 켜 논 상태에서 정상차량의 +극에 방전된 차량의 +를 연결하고 -극에 -를 연결하면 된다. 방전된 배터리는 수명이 짧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방전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전극 고정부위도 단단히 결속되었는지 살핀다.
전문가들은 여름나기를 준비하는 자가운전자들이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냉각수와 에어컨을 지목하고 있다.
◇냉각수=냉각수는 여름철에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한다. 지열이 높은데다 에어컨을 자주 켜 냉각수가 부족하면 곧바로 오버히트가 돼 엔진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냉각수는 여름철엔 자연 증발되는 양이 있어 수시로 체크해야 한다. 점검방법은 엔진이 냉각됐을 때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수돗물을 보충하는데 많이 부족하면 부동액을 물과 50대 50으로 희석시켜 넣어주는 것이 좋다. 냉각수의 점검은 냉각수가 MAX와 MIN의 사이에 있으면 정상이다. 그리고 라디에이터의 캡을 열어 냉각수가 적정하게 있는지 점검한다. 모자란 경우는 냉각수를 보충하고 라디에이터 호스, 체결부위 등에서 새는 곳이 없는지도 꼼꼼히 점검한다.
◇에어컨=오랫동안 쓰지 않던 에어컨을 다시 사용하기 전엔 우선 에어컨 냉매제가 제대로 차 있는지를 살펴본다. 에어컨을 켰을 때 싸늘한 바람이 계속해서 나오지 않으면 냉매제가 부족한 것이다. 사고로 수리를 한 경우엔 냉매제가 부족할 가능성이 크다.
냉매제는 원래의 냉매제와 같은 종류로 채우도록 신경 쓰는 것이 좋다. 또 냉매제가 새나갔을 경우, 새나간 파이프 연결 부분을 찾아 수리해야 한다.
에어컨을 켤 때 냄새가 심하게 나는 것은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물을 내보내는 배출구가 막혀 그곳에 쌓인 찌꺼기 등이 썩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배출구를 뚫어 주고 심하면 청소까지 해야한다. 에어컨은 엔진이 어느 정도 워밍업 된 다음에 작동시켜야 무리가 없으며 또 시동을 끄기 전에 미리 에어컨을 꺼야 배터리에 많은 전기가 충전된다.
◇와이퍼=비가 자주 내리는 여름철에 윈도 와이퍼 점검은 필수적이다.
와이퍼 고무는 얇은 고무날로 만들어져 쉽게 손상된다. 고무 날끝이 수직상태에서 많이 벗어나면 새것으로 교환한다. 와이퍼를 작동했는데 물이 나오지 않으면 원인은 세 가지다. 모터는 움직이는데 물이 나오지 않으면 워셔액이 없거나 보네트 위에 달린 노즐 구멍이 막힌 것이다. 워셔액을 보충하고 가는 철사나 바늘로 막힌 구멍을 뚫으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물줄기는 앞 유리창 아래쪽에서 3분의 1지점에 떨어지도록 노즐에 핀이 꽂아 분사각도를 조절한다. 모터 회전소리조차 들리지 않거나 와이퍼가 작동하지 않으면 와이퍼 퓨즈(실내 퓨즈박스)나 릴레이가 끊어진 것이다. 워셔액도 수시로 확인해 충분하게 보충해 줘야 한다.
◇배터리=차가 빠른 속도로 주행하면 발전기가 전기를 충분히 충전해 줘 문제가 없으나 거북이 걸음일 때는 발전기의 회전이 느려져 배터리에 비축된 전기가 점점 소모된다. 특히 와이퍼, 애어컨 카세트 등은 많은 전기를 소모한다. 비오는 날 차량이 밀릴 때는 꼭 필요한 전장품만 사용하고 다른 것들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요즘 나오는 배터리는 자체에 배터리상태 점검창이 부착되어 있어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녹색이면 정상작동이라고 보면 된다.
간혹 미등이나 기타 전기기구를 작동시키고 시동을 끄는 경우 배터리가 방전을 일으켜 시동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다른 자동차에 양해를 구해 점프를 해 주행을 하면 다시 충전이 된다. 점프방법은 정상적인 차는 시동을 켜 논 상태에서 정상차량의 +극에 방전된 차량의 +를 연결하고 -극에 -를 연결하면 된다. 방전된 배터리는 수명이 짧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방전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전극 고정부위도 단단히 결속되었는지 살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