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기자 = 지난 한 해 동안 여의도(2.95㎢) 면적의 7.8배에 달하는 땅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서 풀린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그린벨트 해제 면적은 23㎢로 2007년의 18㎢보다 5㎢가 늘었다.이는 지방자치단체들이 활용할 용지가 부족하다며 산업단지 및 택지 조성을 위해 그린벨트를 대거 해제해줄 것을 중앙 정부에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1971년부터 전국에서 지정된 총 5천397㎢의 그린벨트는 지난해까지 전체의 27%인 1천458㎢가 풀려 3천939㎢만 남게 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경기도에서 8㎢의 그린벨트가 풀려 가장 많았고 경상남도가 4㎢, 서울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등이 각각 2㎢씩 해제됐다.
목적별로는 집단취락 1.93㎢, 국책사업 9.03㎢, 지역현안사업 1.82㎢, 일반조정가능지 10.24㎢ 등이 풀렸다.
재정부 관계자는 "1999년 제도개선 방안에 따라 국책사업 등을 위해 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해왔으며 향후 2020년 광역도시계획에 따라 계획적인 해제 조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president21@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30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그린벨트 해제 면적은 23㎢로 2007년의 18㎢보다 5㎢가 늘었다.이는 지방자치단체들이 활용할 용지가 부족하다며 산업단지 및 택지 조성을 위해 그린벨트를 대거 해제해줄 것을 중앙 정부에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1971년부터 전국에서 지정된 총 5천397㎢의 그린벨트는 지난해까지 전체의 27%인 1천458㎢가 풀려 3천939㎢만 남게 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경기도에서 8㎢의 그린벨트가 풀려 가장 많았고 경상남도가 4㎢, 서울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등이 각각 2㎢씩 해제됐다.
목적별로는 집단취락 1.93㎢, 국책사업 9.03㎢, 지역현안사업 1.82㎢, 일반조정가능지 10.24㎢ 등이 풀렸다.
재정부 관계자는 "1999년 제도개선 방안에 따라 국책사업 등을 위해 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해왔으며 향후 2020년 광역도시계획에 따라 계획적인 해제 조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president21@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