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연구원 연구조사 결과 발표
정치권의 행정체제 개편안을 경기도에 적용할 경우 주민투표를 통해 광역시로 통합가능한 곳은 의정부지역 1곳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병도 경기개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정치권 지방행정체제 개편안의 경기도 적용 가능성 검토’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회에 계류돼 있는 한나라당 권경석 의원안을 적용한 10개 통합시 계획안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통합요건인 해당 시·군 지역주민의 과반수 찬성을 만족한 지역은 한 곳도 없었다. 향후 가능성이 엿보이는 지역도 의정부와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을 포함하는 의정부 지역 한 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병도 연구위원은 “다른 9개 가상통합시 지역에서는 전반적으로 반대가 찬성보다 높아 통 합 추진시 갈등이 예상되며 의정부 지역에 속하는 의정부,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만 찬성 비율이 39~49%로 반대보다 높게 나타나 통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안 연구위원은 “막연히 ‘행정체계 축소와 비용절감’을 명분으로 찬반을 묻게 되면 찬성이 압도적인 것은 당연하지만 통합의 구체적 조건인 통합시 명칭과 청사위치, 선거구변화 등에 대한 고려한다면 달라지지 않을까하는 문제의식에서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권경석 의원이 발의한 개편안에 따라 △수원(수원, 오산, 화성) △안양(안양, 과천, 의왕, 군포) △성남(성남, 하남, 광주) △의정부(의정부,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 △고양(고양, 파주, 김포, 강화) △부천(부천, 광명) △안산(안산, 시흥) △용인(용인, 평택, 안성) △구리(남양주, 구리) △이천(이천, 여주, 양평, 가평) 등 모두 10곳으로 나눠 통합시 명칭과 청사 위치 등에 대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진행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정치권의 행정체제 개편안을 경기도에 적용할 경우 주민투표를 통해 광역시로 통합가능한 곳은 의정부지역 1곳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병도 경기개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정치권 지방행정체제 개편안의 경기도 적용 가능성 검토’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회에 계류돼 있는 한나라당 권경석 의원안을 적용한 10개 통합시 계획안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통합요건인 해당 시·군 지역주민의 과반수 찬성을 만족한 지역은 한 곳도 없었다. 향후 가능성이 엿보이는 지역도 의정부와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을 포함하는 의정부 지역 한 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병도 연구위원은 “다른 9개 가상통합시 지역에서는 전반적으로 반대가 찬성보다 높아 통 합 추진시 갈등이 예상되며 의정부 지역에 속하는 의정부,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만 찬성 비율이 39~49%로 반대보다 높게 나타나 통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안 연구위원은 “막연히 ‘행정체계 축소와 비용절감’을 명분으로 찬반을 묻게 되면 찬성이 압도적인 것은 당연하지만 통합의 구체적 조건인 통합시 명칭과 청사위치, 선거구변화 등에 대한 고려한다면 달라지지 않을까하는 문제의식에서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권경석 의원이 발의한 개편안에 따라 △수원(수원, 오산, 화성) △안양(안양, 과천, 의왕, 군포) △성남(성남, 하남, 광주) △의정부(의정부,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 △고양(고양, 파주, 김포, 강화) △부천(부천, 광명) △안산(안산, 시흥) △용인(용인, 평택, 안성) △구리(남양주, 구리) △이천(이천, 여주, 양평, 가평) 등 모두 10곳으로 나눠 통합시 명칭과 청사 위치 등에 대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진행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