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편·입학, 일반 편·입학 등 전국 대학의 편·입학 시기가 내년부터 대학마다 달라질
계획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그동안 1학기 편·입학 전형기간을 1월 중순∼2월 중순, 2학기 편·입학
은 7월 중순∼8월 중순으로 규정해왔으나, 내년부터는 일선 대학에 권한을 위임,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전형시기를 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1일 밝혔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 15일자로 전국 각 대학에 보낸 '편·입학 전형 계획 지침'을 통
해 이같은 내용을 통보했다.
이에 따라 대학 4년을 마치고 타 대학 및 타 학과 3학년에 편입하려는 학사 편·입학이나 2
학년을 마치고 3학년에 편입하는 일반 편·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대학들의 세부 일정
발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편·입학 시기가 대학 자율에 맡겨질 경우 각 대
학의 사정에 따라 편입시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부가 편·입학 일정을 제한해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대의 경우 편·입학 기간 제한으로 학생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
고 있어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다만 편·입학 대상자들이 출신대학 성적증명서 등 필요한 관련서류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연중 아무때나 편·입학이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계획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그동안 1학기 편·입학 전형기간을 1월 중순∼2월 중순, 2학기 편·입학
은 7월 중순∼8월 중순으로 규정해왔으나, 내년부터는 일선 대학에 권한을 위임,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전형시기를 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1일 밝혔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 15일자로 전국 각 대학에 보낸 '편·입학 전형 계획 지침'을 통
해 이같은 내용을 통보했다.
이에 따라 대학 4년을 마치고 타 대학 및 타 학과 3학년에 편입하려는 학사 편·입학이나 2
학년을 마치고 3학년에 편입하는 일반 편·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대학들의 세부 일정
발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편·입학 시기가 대학 자율에 맡겨질 경우 각 대
학의 사정에 따라 편입시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부가 편·입학 일정을 제한해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대의 경우 편·입학 기간 제한으로 학생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
고 있어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다만 편·입학 대상자들이 출신대학 성적증명서 등 필요한 관련서류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연중 아무때나 편·입학이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