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서울지역 구별 아파트값 평당 평균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용산이 송파를 제치고 3위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뱅크가 2006년부터 현재까지 서울 25개구 아파트의 3.3㎡당 평균매매가를 분석한 결과 용산과 노원이 지속적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용산의 경우 2006년 5위(1652만원), 2007년 4위(2128만원)에 이어 2008년(2354만원)에는 4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송파를 제치고 3위(2425만원)에 올랐다. 또한 하위권을 맴돌던 노원은 2006년 24위(658만원)에서 2007년(892만원)과 2008년(1040만원)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18위(1219만원)로 상승률을 가장 높았다.
하지만 금천은 2006년 21위(690만원)에서 2007년 22위(856만원)를 기록한 이후 2008년(923만원)과 2009년 (1005만원)을 기록해 최하위에 머무른 것으로 조사됐다.
용산은 최근 3년간 1위를 기록했던 강남과의 격차가 1000만원대 이상 벌어졌던 곳이다.
하지만 강남 하락과 용산 상승으로 인해 격차는 734만원으로 줄어들었다.
용산은 미군기지 이전, 한남뉴타운, 국제업무지구 사업, 한강변 아파트 등의 호재가 이어지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강남권 집값이 떨어지는 동안 용산은 지난해 대비 3.03%의 오름세를 기록했고, 2007년(13.96%)과 2006년(46.81%)에도 상승률을 보였다.
이에 반해 지난해 3500만원을 넘어섰던 강남은 10% 가량 줄어들었다.
그동안 하위권을 맴돌던 노원 도봉 중랑 도봉 지역의 순위가 최근 3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있다.
노원의 경우 2006년 대비 85.26%에 달하는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2007년(36.72%), 지난해(17.25%)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개발`경전철 등의 호재가 작용하면서 대출규제 부담이 없는 강북권 지역으로 집값 상승이 이어졌다.
신경희 부동산뱅크 리서치센터 팀장은 “호재가 반영된 상승폭이 컸던 용산의 경우 개발사업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 사업추진 속도를 지
켜봐야 한다”며 “강북 중랑 도봉 은평 금천 등 단기간에 급등한 지역은 경기침체로 가격 조정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뱅크가 2006년부터 현재까지 서울 25개구 아파트의 3.3㎡당 평균매매가를 분석한 결과 용산과 노원이 지속적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용산의 경우 2006년 5위(1652만원), 2007년 4위(2128만원)에 이어 2008년(2354만원)에는 4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송파를 제치고 3위(2425만원)에 올랐다. 또한 하위권을 맴돌던 노원은 2006년 24위(658만원)에서 2007년(892만원)과 2008년(1040만원)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18위(1219만원)로 상승률을 가장 높았다.
하지만 금천은 2006년 21위(690만원)에서 2007년 22위(856만원)를 기록한 이후 2008년(923만원)과 2009년 (1005만원)을 기록해 최하위에 머무른 것으로 조사됐다.
용산은 최근 3년간 1위를 기록했던 강남과의 격차가 1000만원대 이상 벌어졌던 곳이다.
하지만 강남 하락과 용산 상승으로 인해 격차는 734만원으로 줄어들었다.
용산은 미군기지 이전, 한남뉴타운, 국제업무지구 사업, 한강변 아파트 등의 호재가 이어지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강남권 집값이 떨어지는 동안 용산은 지난해 대비 3.03%의 오름세를 기록했고, 2007년(13.96%)과 2006년(46.81%)에도 상승률을 보였다.
이에 반해 지난해 3500만원을 넘어섰던 강남은 10% 가량 줄어들었다.
그동안 하위권을 맴돌던 노원 도봉 중랑 도봉 지역의 순위가 최근 3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있다.
노원의 경우 2006년 대비 85.26%에 달하는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2007년(36.72%), 지난해(17.25%)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개발`경전철 등의 호재가 작용하면서 대출규제 부담이 없는 강북권 지역으로 집값 상승이 이어졌다.
신경희 부동산뱅크 리서치센터 팀장은 “호재가 반영된 상승폭이 컸던 용산의 경우 개발사업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 사업추진 속도를 지
켜봐야 한다”며 “강북 중랑 도봉 은평 금천 등 단기간에 급등한 지역은 경기침체로 가격 조정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