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집배원이 뇌혈관질환으로 쓰러진 주민의 생명을 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주인공은 서울 시흥우체국에 근무하는 성영찬(30) 집배원.
성 집배원은 지난해 12월 26일 오전 우편배달 도중 집 앞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신 모씨를 발견했다. 그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가족에 연락했다.
그리고는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신씨에게 이불을 덮어주고 땀도 닦아주면서 보살폈다.
신씨가 쓰러진 장소는 공단 근처 원룸 밀집지역으로, 평소 출퇴근 시간 이외에는 인적이 드물어 집배원이 발견하지 않았더라면 자칫 큰 변을 당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신씨는 쓰러졌을 당시 응급실로 옮겨진 후 뇌혈관질환 진단을 받았지만 현재 병원을 오가며 재활치료를 받을 정도로 호전된 상태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달 16일 신씨가 시흥우체국을 방문해 감사의 뜻을 전하면서 비로서 알려졌다.
신씨의 딸인 모씨는 최근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 ‘고객의 소리, 창친마당’을 통해 “성 집배원은 어머니 생명의 은인”이라며 “요즘같은 세상에 무심코 지나칠 수도 있었을텐데, 모르는 시민에게까지 관심을 갖고, 끝까지 도움주신 것에 대해 한없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주인공은 서울 시흥우체국에 근무하는 성영찬(30) 집배원.
성 집배원은 지난해 12월 26일 오전 우편배달 도중 집 앞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신 모씨를 발견했다. 그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가족에 연락했다.
그리고는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신씨에게 이불을 덮어주고 땀도 닦아주면서 보살폈다.
신씨가 쓰러진 장소는 공단 근처 원룸 밀집지역으로, 평소 출퇴근 시간 이외에는 인적이 드물어 집배원이 발견하지 않았더라면 자칫 큰 변을 당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신씨는 쓰러졌을 당시 응급실로 옮겨진 후 뇌혈관질환 진단을 받았지만 현재 병원을 오가며 재활치료를 받을 정도로 호전된 상태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달 16일 신씨가 시흥우체국을 방문해 감사의 뜻을 전하면서 비로서 알려졌다.
신씨의 딸인 모씨는 최근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 ‘고객의 소리, 창친마당’을 통해 “성 집배원은 어머니 생명의 은인”이라며 “요즘같은 세상에 무심코 지나칠 수도 있었을텐데, 모르는 시민에게까지 관심을 갖고, 끝까지 도움주신 것에 대해 한없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