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시내 초등학교 취학대상자 6명 중 1명이 입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초등학교 취학 대상자 11만1495명 중 1만8329명이 진학하지 않아 미취학률이 16%에 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만 7세 아동 10만여명 중 1만6000여명이 초등학교에 가지 않았으며 취학을 미뤘거나 조기입학을 신청한 학생 중에서도 2300여명이 입학하지 않았다.
자치구별 미취학률이 높은 지역은 용산(23%), 강남(21%), 동작·서초(20%), 서대문(19%), 강북(18%) 등이었다.
이에 반해 중구(11%), 성북(12%), 금천(13%), 광진·도봉·은평(15%)등은 미취학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미취학률은 1998년 4.8%에 불과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7년에는 15%에 달했다.
미취학률이 높아지는 이유에 대해 교육계서는 조기유학이나 성장부진을 이유로 취학을 미루거나 가정형편으로 제때에 학교에 가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초등학교 취학 대상자 11만1495명 중 1만8329명이 진학하지 않아 미취학률이 16%에 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만 7세 아동 10만여명 중 1만6000여명이 초등학교에 가지 않았으며 취학을 미뤘거나 조기입학을 신청한 학생 중에서도 2300여명이 입학하지 않았다.
자치구별 미취학률이 높은 지역은 용산(23%), 강남(21%), 동작·서초(20%), 서대문(19%), 강북(18%) 등이었다.
이에 반해 중구(11%), 성북(12%), 금천(13%), 광진·도봉·은평(15%)등은 미취학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의 미취학률은 1998년 4.8%에 불과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7년에는 15%에 달했다.
미취학률이 높아지는 이유에 대해 교육계서는 조기유학이나 성장부진을 이유로 취학을 미루거나 가정형편으로 제때에 학교에 가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