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3개 시·도의회 의장들이 23일 정부와 국회에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의 법적지위와 관할구역 등을 규정하는 세종시특별법의 조속한 제정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남욱 대전시의회, 강태봉 충남도의회, 이대원 충북도의회 의장은 이날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00만 충청인은 행정도시 건설의 바탕이 될 세종시특별법이 지난달 임시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은 것에 대해 깊은 유감과 우려를 표하고 있다”며 “우리는 해당 법안이 4월 임시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지난 20일 김문수 경기지사의 행정도시 건설 반대 발언에 대해 분노와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행정도시 건설은 충청권만이 아닌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한 일로, 김 지사의 국론분열을 일삼는 억지 주장은 국민적 심판에 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이밖에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국방대 논산 이전, 청주공항 활성화 대책 마련 등 지역 현안에 대한 중앙정부의 약속 이행도 함께 요구했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김남욱 대전시의회, 강태봉 충남도의회, 이대원 충북도의회 의장은 이날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00만 충청인은 행정도시 건설의 바탕이 될 세종시특별법이 지난달 임시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은 것에 대해 깊은 유감과 우려를 표하고 있다”며 “우리는 해당 법안이 4월 임시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지난 20일 김문수 경기지사의 행정도시 건설 반대 발언에 대해 분노와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행정도시 건설은 충청권만이 아닌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한 일로, 김 지사의 국론분열을 일삼는 억지 주장은 국민적 심판에 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이밖에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국방대 논산 이전, 청주공항 활성화 대책 마련 등 지역 현안에 대한 중앙정부의 약속 이행도 함께 요구했다.
대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