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화성시 향남읍 주공임대아파트. 할머니 몇 분이 화단을 가꾸고 있다. 머리에 두건을 두른 모습이 조금은 낯설다. 할머니들은 외국어를 쓰고 있다. 툭툭 거리는 게 러시아다. 따뜻한 게 좋은 듯 맨얼굴로 햇볕을 쬐는 할머니들은 지난해 11월 한국으로 온 사할린 동포들이다.
“꿈에서도 고향이라고 하잖아요. 그 말이 딱 맞아요.”
김원진(68) 할아버지는 부인 황순자(67) 할머니와 함께 귀국해 이곳 화성에 터전을 잡았다. 대한적십자가 주선한 사할린 동포 영구귀국 프로그램을 통해서다. 정부는 사할린 동포들에게 임대아파트와 지원금을 제공했다. 김 할아버지는 한국에 와서 두 번 울었다고 말했다.
“인천공항에 도착했을 때 울었고, 지금 이 아파트 문을 열었을 때 또 울었어요. 우리나라에 내가 살 곳이 생겼다는 생각에서요.”
동포 할머니들은 연신 날씨가 너무 좋다고 말했다.
황 할머니는 “사할린은 아직도 눈이 있어. 겨울엔 아주 춥지. 털신, 털옷 이런 것 아니면 못 견뎌”라며 한국의 따뜻한 날씨를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생활 4개월째. 하지만 한국생활 적응이 쉽지만은 않다. 우선 언어가 문제다.
“옛날에 썼던 거니까 아예 기억이 안 나는 건 아니에요. 그런데 어떤 말은 자꾸 헷갈려서.” 그래도 김 할아버지 부부는 처지가 나은 편이다. 사할린 조선인 마을에 살아 우리말이 익숙하다. 러시아인 마을에 살던 이들은 우리말이 많이 서툴다고 한다.
생활비도 부족한 편이다.
황 할머니는 “물가가 비싸서 먹을 것 말고 용돈은 없지”라고 말했다. 아파트 관리비, 전기비, 전화비 등을 합치면 34만원쯤 된다. 여기에 식비 등 기본생활비를 정부에서 받는 돈으론 빠듯하다.
이곳 사할린 동포들의 첫 번째 바람은 모두 한 가지다.
김 할아버지는 “주민등록증이 나오는 거지요. 한국 왔다고 바로 나오는 건 아니라고 했습니다.”
사할린 동포들에게 주민등록증이 단순히 상징적인 의미만은 아니다. 우리 국민으로 등록이 돼야 노인연금 등 정부가 지원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전까진 적십자가 지자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기댈 수밖에 없다.
대한적십자회와 정부의 사할린 동포 영주귀국 사업으로 현재 인천, 안산, 화성, 부산, 원주 등에 2300여 명의 사할린 동포들이 자리잡았다.
이제 막 한국에 온 동포들은 모든 게 좋다며 한국살이를 기대한다. 하지만 제대로 된 지원없이 고국에서 시간만 보내는 동포들은 실망한다.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지 않기 위해선 동포들에게 체계적인 언어 교육을 시행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이정섭 기자 munchi@naeil.com
(사진설명)
지난해 12월 18일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남부노인복지회관. ''사할린 동포 영주귀국 환연회''에서 사할린 동포들이 ''타향살이''를 따라부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심언철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꿈에서도 고향이라고 하잖아요. 그 말이 딱 맞아요.”
김원진(68) 할아버지는 부인 황순자(67) 할머니와 함께 귀국해 이곳 화성에 터전을 잡았다. 대한적십자가 주선한 사할린 동포 영구귀국 프로그램을 통해서다. 정부는 사할린 동포들에게 임대아파트와 지원금을 제공했다. 김 할아버지는 한국에 와서 두 번 울었다고 말했다.
“인천공항에 도착했을 때 울었고, 지금 이 아파트 문을 열었을 때 또 울었어요. 우리나라에 내가 살 곳이 생겼다는 생각에서요.”
동포 할머니들은 연신 날씨가 너무 좋다고 말했다.
황 할머니는 “사할린은 아직도 눈이 있어. 겨울엔 아주 춥지. 털신, 털옷 이런 것 아니면 못 견뎌”라며 한국의 따뜻한 날씨를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생활 4개월째. 하지만 한국생활 적응이 쉽지만은 않다. 우선 언어가 문제다.
“옛날에 썼던 거니까 아예 기억이 안 나는 건 아니에요. 그런데 어떤 말은 자꾸 헷갈려서.” 그래도 김 할아버지 부부는 처지가 나은 편이다. 사할린 조선인 마을에 살아 우리말이 익숙하다. 러시아인 마을에 살던 이들은 우리말이 많이 서툴다고 한다.
생활비도 부족한 편이다.
황 할머니는 “물가가 비싸서 먹을 것 말고 용돈은 없지”라고 말했다. 아파트 관리비, 전기비, 전화비 등을 합치면 34만원쯤 된다. 여기에 식비 등 기본생활비를 정부에서 받는 돈으론 빠듯하다.
이곳 사할린 동포들의 첫 번째 바람은 모두 한 가지다.
김 할아버지는 “주민등록증이 나오는 거지요. 한국 왔다고 바로 나오는 건 아니라고 했습니다.”
사할린 동포들에게 주민등록증이 단순히 상징적인 의미만은 아니다. 우리 국민으로 등록이 돼야 노인연금 등 정부가 지원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전까진 적십자가 지자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기댈 수밖에 없다.
대한적십자회와 정부의 사할린 동포 영주귀국 사업으로 현재 인천, 안산, 화성, 부산, 원주 등에 2300여 명의 사할린 동포들이 자리잡았다.
이제 막 한국에 온 동포들은 모든 게 좋다며 한국살이를 기대한다. 하지만 제대로 된 지원없이 고국에서 시간만 보내는 동포들은 실망한다.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지 않기 위해선 동포들에게 체계적인 언어 교육을 시행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이정섭 기자 munchi@naeil.com
(사진설명)
지난해 12월 18일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남부노인복지회관. ''사할린 동포 영주귀국 환연회''에서 사할린 동포들이 ''타향살이''를 따라부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심언철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