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교통난 해소와 대기오염 감소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승용차요일제가 부자동네 주민들에게는 외면받고 있다.
허준혁 서울시의원은 승용차요일제 참여 조사 결과 재정자립도가 높은 자치구 주민들 참여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허 의원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서울시내 전체 차량 가운데 승용차요일제 참여 차량은 84만6345대로 대상차량 241만1757대 중 35.1%다. 이 가운데 재정자립도가 높은 5개 구는 모두 서울시 평균 참여율에 훨씬 못 미친다.
중구는 참여율이 15.3%(5만8300대 중 8903대)로 지난해에 이어 가장 낮고 이어 서초구가 14만4223대 중 2만6634대(18.5%)로 뒤를 이었다.
강남구와 종로구가 각각 18.8%(22만5764대 중 4만2397대)와 19.6%(6만8058대 중 1만3357대)로 그 다음이다. 송파구는 23.3%(16만4861대 중 3만8448대)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9월말 현재도 요일제 참여율 최하위권은 중구(13%) 서초구(15.8%) 종로구(17.9%) 강남구(18.7%) 송파구(22.8%) 순으로 올해와 같다.
반면 재정자립도 최하위 수준인 중랑구는 7만658대 중 5만2255대(69.1%)가 등록해 지난해에 이어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 도봉구(54.2%) 동대문구(51.5%) 동작구(49.0%) 서대문구(48.6%)가 그 뒤를 잇는다.
한편 요일제 위반차량은 전체 5만2703대. 올 들어 3개월만에 16.06%에 달한다. 이 가운데 1회 위반은 3만5985대 2회 위반은 8823대다. 3회 위반으로 삼진아웃당한 차량도 7895대(6.2%)에 이른다
허준혁 시의원은 “재정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와 낮은 구의 참여율 차이가 현저하고 그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다”며 “승용차요일제는 교통난 해소 외에도 대기질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시민들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허준혁 서울시의원은 승용차요일제 참여 조사 결과 재정자립도가 높은 자치구 주민들 참여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허 의원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서울시내 전체 차량 가운데 승용차요일제 참여 차량은 84만6345대로 대상차량 241만1757대 중 35.1%다. 이 가운데 재정자립도가 높은 5개 구는 모두 서울시 평균 참여율에 훨씬 못 미친다.
중구는 참여율이 15.3%(5만8300대 중 8903대)로 지난해에 이어 가장 낮고 이어 서초구가 14만4223대 중 2만6634대(18.5%)로 뒤를 이었다.
강남구와 종로구가 각각 18.8%(22만5764대 중 4만2397대)와 19.6%(6만8058대 중 1만3357대)로 그 다음이다. 송파구는 23.3%(16만4861대 중 3만8448대)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9월말 현재도 요일제 참여율 최하위권은 중구(13%) 서초구(15.8%) 종로구(17.9%) 강남구(18.7%) 송파구(22.8%) 순으로 올해와 같다.
반면 재정자립도 최하위 수준인 중랑구는 7만658대 중 5만2255대(69.1%)가 등록해 지난해에 이어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 도봉구(54.2%) 동대문구(51.5%) 동작구(49.0%) 서대문구(48.6%)가 그 뒤를 잇는다.
한편 요일제 위반차량은 전체 5만2703대. 올 들어 3개월만에 16.06%에 달한다. 이 가운데 1회 위반은 3만5985대 2회 위반은 8823대다. 3회 위반으로 삼진아웃당한 차량도 7895대(6.2%)에 이른다
허준혁 시의원은 “재정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와 낮은 구의 참여율 차이가 현저하고 그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다”며 “승용차요일제는 교통난 해소 외에도 대기질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시민들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